테크레시피

NFT 통한 탄소 상쇄가 말하는 문제점

요즘 시선을 끄는 NFT 분야에서도 탄소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정면으로 배출량 삭감을 하는 것보다는 탄소 상쇄 그러니까 탄소를 내는 권리를 구입하는 쪽이다. 디지털 아트 플랫폼인 니프티게이트웨이(Nifty Gateway)는 3월말 기후 변화를 주제로 한 경매(#CarbonDrop)를 개최했다 경매에는 비플(Beeple) 작품이 600만 달러, 다른 아티스트 작품은 60만 달러에 낙찰됐다고 한다.

수익은 기후 변화 책임과 배출량 추적에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비영리단체인 오픈어스재단(Open Earth Foundation)에 기부됐다. 경매에서 배출했다는 추정 500톤 탄소를 탕감하기 위해 예술가에게 탄소 오프셋이 주어졌다. 이런 탄소 상쇄는 배출량을 감소하지 않고 나무 심기 등 활동을 통해 배출량을 상쇄하는 게 문제시되고 있다.

또 조사에 따르면 오프셋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조사에 따르면 브라질에서 열린 농장 프로젝트 일부는 산림 면적이 감소했다고 한다. 또 미국 오레곤주에서 오프셋을 위해 확보한 숲이 화재로 전소,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니프티게이트게이 소유자는 경매에 관한 트윗에서 이 프로젝트 덕에 NFT 업계 전체 탄소 수치가 마이너스가 됐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또 니프티게이트웨이는 배출량보다 42배를 상쇄하고 있는 만큼 탄소 수치는 마이너스 42배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 자체로는 전혀 아무런 의미도 없지만 확실한 효과가 있다. 이런 탄소 상쇄가 의미하는 건 NFT 플랫폼의 대폭적인 감축을 향한 움직임을 둔화시키는 좋은 구실이 되고 있다.

부유한 구매자는 예술을 얻고 비영리 환경 단체는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돈을 손에 쥔다. 하지만 경매 방식에 따라 스크립트 예술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나 기술 전반이 안고 있는 큰 문제가 보이지 않게 되어버리는 현실적 위험도 있다.

여러 조사에 따르면 니프티게이트웨이에 의한 탄소 오염은 NFT 플랫폼에서 2번째로 심각한 문제라고 한다. 한 아티스트가 분석한 결과 올해 3월 22일까지 니프티게이트웨이에 의한 탄소 배출량은 1만 3,170톤으로 오픈씨(Open Sea)에 이어 2번째로 많았다고 한다. 니프티게이트웨이가 이용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연예인을 비롯한 참가자가 토큰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으로 디지털 아트를 포함한 거의 모든 출품작에 감정 면허 같은 걸 할 수 있다.

이더리움에선 블록체인 채굴에 전 세계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다. 이 방법은 PoW라고 한다. 이더리움 개발자는 이를 PoS로 전환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방안을 준비하고 몇 년 전부터 주장하고 있지만 이행 지연이 계속되고 있다.

탄소 오염을 상쇄로 해결할 수는 없다. 탈탄소화가 곤란한 시멘트 생산과 항공 등 분야에서 상쇄가 필요하게 될지 모른다. 하지만 기후 위기로 인한 최악의 영향을 막기에는 NFT를 포함해 탈탄소화를 위해 정말 필요한 행동을 지금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아티스트 개인이 이런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도 좋지만 현실은 개인이 아닌 시스템적 변화가 필요하다.

한 전문가는 니프티게이트웨이에 대해 이들은 탄소 오염을 낳지 않는 방식이 얼마든지 있음에도 기존 방식대로 얻은 에너지를 상쇄로 속여 이미지를 포장, 화석 연료 산업이 만드는 함정에 감쪽같이 낄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

물론 참여한 아티스트나 구매자를 비난할 필요는 없다. 탄소 상쇄는 투명성과 엔드투엔드 확인에 대한 많은 비판을 받고 있고 상쇄 자체가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더구나 이는 개인이나 NFT 만의 문제라고 할 수는 없다. NFT에 의한 배출량은 이더리움 추정 연간 탄소배출량 13.89메가톤 중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아티스트는 작품 제작을 삼가는 게 좋지 않겠냐는 논의도 있다. 이더리움을 이용한 플랫폼에 대해 정책 변경이나 손상이 적은 스크립트 네트워크로 갈아타는 걸 추구하는 여론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암호 화폐 사업자가 생태계에 손상을 줄이기 위해 대책을 취하지 않는다면 탄소 집약적 통화에서 철수하겠다고 압박할 수도 있다. 궁극적으론 기후 위기 관련한 모든 문제에서 그렇듯 개인이 아닌 집단에 의한 행동이 필요해지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용환 기자

대기업을 다니다 기술에 눈을 떠 글쟁이로 전향한 빵덕후. 새로운 기술과 스타트업을 만나는 즐거움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뉴스레터 구독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