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딥시크, 사용자 데이터 中 정부에 제공?

중국 AI 스타트업인 딥시크(DeepSeek)가 오픈소스 범주를 넘어선 정보 제공을 중국 정부에 하고 있다고 미국 정부 고위관리가 밝혔다. 또 딥시크는 미국 AI 칩 수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 더미 회사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딥시크는 지난 1월 DeepSeek-R1을 출시했다. 딥시크는 오픈AI 대규모 언어모델(LLM)인 오픈AI o1의 불과 3% 운영비용만 든다는 점이 어필됐다.

미국 국무부 고위관리가 익명을 조건으로 밝힌 내용에 따르면 딥시크 사업은 단순히 AI 오픈소스 버전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정보 제공자에 따르면 딥시크는 중국 인민해방군 및 정보기관을 기꺼이 지원하며 사용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정보 제공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또 150회 이상 인용된 내부 조달 기록에 따르면 딥시크가 인민해방군 연구기관을 지원하고 있었다는 것도 밝혀졌다. 정부 고위관리는 이에 대해 딥시크는 AI 모델에 대한 오픈 액세스를 훨씬 넘어서는 걸 중국 정부에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법률에서는 국내 기술기업이 정부로부터 요구받을 경우 임의의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 그럼에도 보도가 사실이라면 딥시크가 전 세계에 보유한 수백만 명에 이르는 사용자에게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정부 고위관리는 딥시크가 사용자 통계정보나 개인정보를 베이징 감시 네트워크와 공유하고 있다고도 주장하고 있다. 한편 미국 의원은 과거 딥시크가 중국 국영 통신회사인 차이나모바일에 관련된 백엔드 링크를 통해 미국 사용자 개인정보를 정부와 공유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 보도를 바탕으로 미국에서는 정부 기기에서의 딥시크 금지 법안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한편 딥시크는 현재 이런 프라이버시상의 우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관철하고 있어 실제로 어느 정도 정보가 중국 정부에 제공되고 있는지는 불명확하다.

미국은 2022년 이후 중국으로의 고성능 GPU 수출을 저지하기 위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AI를 군사 방면에 활용하는 것을 우려한 조치다.

하지만 딥시크는 중국으로의 수입이 금지된 고성능 GPU를 밀수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에 더미 회사를 설립했다고 정부 고위관리가 지적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딥시크 측 계획이 실제로 성공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딥시크가 중국으로의 수출이 규제된 고성능 반도체를 밀수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건 지난 2월 시점에서 보도된 바 있다. 다만 딥시크는 합법적으로 입수한 H800 칩만을 사용해 AI 개발·운영을 하고 있으며 규제 대상이 되는 H100 칩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정보를 제공한 관계자 3명은 딥시크가 규제를 위반하고 고성능 반도체를 독자적으로 조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25년 3월에는 엔비디아 칩을 밀수한 인물이 싱가포르에서 체포됐지만 현재 딥시크가 미국 정부 블랙리스트에 오르거나 엔비디아가 고의로 밀수업자와 공모했다고 비난받은 적은 없다. 하지만 중국 AI 기술에 대해 미국이 불신감을 품고 있다는 건 분명하다.

정보를 제공한 정부 고위관리는 딥시크에 대한 새로운 제재나 더 엄격한 수출 규제에 대해 질문 받자 현시점에서 발표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고 답변했다. 한편 미국 규제로 인해 엔비디아는 중국 데이터센터 시장 진입이 저지되고 있으며 동 시장은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이 독점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실리콘밸리의 AI 업계 관계자 중에는 DeepSeek의 V3나 R1 같은 모델을 칭찬하는 사람도 있지만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는 이들도 많으며 딥시크가 어필하는 저렴한 개발비용을 훨씬 상회하는 비용이 개발에 투입됐을 가능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또 엄격한 수출 규제 속에서 역사가 짧은 스타트업이 어떻게 고도의 하드웨어를 모을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용환 기자

대기업을 다니다 기술에 눈을 떠 글쟁이로 전향한 빵덕후. 새로운 기술과 스타트업을 만나는 즐거움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뉴스레터 구독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