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챗봇 클로드를 개발하는 앤트로픽(Anthropic)이 4월 8일 대학생이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 작성에는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클로드와의 대화를 자동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인 클리오(Clio)가 사용됐다. 앤트로픽 측은 클리오를 이용해 대학 이메일 주소에 연결된 Claude.ai 계정 내 익명화된 대화 100만 건을 조사했다. 이들 대화를 학생과 학술 관련성으로 필터링한 결과 57만 4,740건 대화가 추출됐다. 앤트로픽은 이들 대화를 그룹화한 뒤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57만 4,740건 대화 중 39.3% 대화에서 에세이 편집이나 학술 자료 요약 등 분야를 초월한 교육 콘텐츠 작성 및 개선이 이뤄졌다는 게 밝혀졌다. 또 AI와 협력해 코딩 작업 오류 디버깅 및 수정, 프로그래밍 알고리즘과 데이터 구조 구현, 수학 문제에 활용된 대화가 33.5%,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에 사용된 것은 11.0%, 연구 설계와 도구 개발 지원이 6.5%, 기술 도면 작성이 3.2%, 콘텐츠 번역 및 교정이 2.4%였다. 다음은 컴퓨터 과학, 자연 과학 및 수학, 비즈니스, 사회 과학 및 역사학 분야에서 클로드에 가장 자주 요청되는 내용을 추출한 것이다. C++ 프로그램 작성 및 디버깅, 통계 문제 해결 및 설명, 회계 개념이나 문제에 관한 지원, 국제 관계에 관한 학술적 글 작성 지원 등 요청이 많이 접수됐다.
이어 앤트로픽은 클로드가 어떤 학술 분야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지에 관해 조사했다. 그 결과 클로드를 가장 자주 사용하는 건 컴퓨터 과학 분야로, 모든 대화 중 컴퓨터 과학 분야 요청이 차지하는 비율은 38.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앤트로픽은 미국 내에서 클로드를 사용하는 전체 대학생 중 컴퓨터 과학 분야 학생은 단지 5.4%였다는 점에서 컴퓨터 과학 분야 학생 수와 비교하면 이 결과는 불균형한 것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전체 대학생 중 비즈니스 관련 교육을 받는 학생은 18.6%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 관련 교육에 관한 클로드에서의 대화는 단지 8.9%였다. 이런 결과로부터 앤트로픽은 비즈니스나 건강, 인문학을 배우는 학생의 클로드 학술 워크플로 통합이 잘 이뤄지지 않은 한편 컴퓨터 과학을 배우는 학생은 클로드를 이른 단계에서 도입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컴퓨터 과학 분야 학생 간 클로드 인지도가 높은 것이나 컴퓨터 과학 분야 학생이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AI 시스템 숙련도가 높은 게 요인이라고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클로드에 접수된 질문에 대한 학술 분야와 비율과 미국 대학에 다니는 학생 전공 분야 비율을 보면 컴퓨터 과학을 전공하는 학생 비율에 비해 동일 분야에서의 질문이 상당히 많다.
New Anthropic research: How university students use Claude.
— Anthropic (@AnthropicAI) April 8, 2025
We ran a privacy-preserving analysis of a million education-related conversations with Claude to produce our first Education Report. pic.twitter.com/apwAqH1ol3
앤트로픽은 또 학생이 AI와 어떻게 대화하는지 분석해 4가지 다른 대화 패턴을 확인했다. 앤트로픽에 따르면 학생 요청은 문제나 과제를 가능한 빨리 해결하려는 직접형, 목표 달성을 위해 모델과의 대화를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협력형, 질문에 대한 해결책이나 설명을 요구하는 문제해결형, 프레젠테이션이나 에세이 등 긴 출력을 작성하려는 출력 생성형 4가지 조합으로 이뤄져 있다고 한다.
또 AI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앤트로픽은 분야별로 분석했다. 그 결과 자연 과학 및 수학 분야에서는 단계적 계산으로 특정 확률 문제 풀기, 과제나 시험 문제 단계적으로 풀기 등 문제해결형 요청이 많이 접수됐다. 또 컴퓨터 과학이나 엔지니어링 등의 분야에서는 협력형 요청이 많았고 인문학이나 비즈니스, 건강 분야에서는 직접형과 협력형이 균등하게 나뉘었다. 앤트로픽은 이번 분석에 관해 클로드 사용이 교육에서의 전체적인 AI 사용과 비교해 어느 정도 다른지는 불명확하다, 대학 이메일 주소에 연결된 계정 대화를 분석했다며 학생으로 간주된 계정이 실제로는 스태프나 교원의 것일 가능성이 있으며 대학 이외 이메일 주소에 연결된 계정에서도 교육 분야의 대화가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는 점, 프라이버시 고려로 인해 최근 18일간 대화만을 분석한 만큼 연간 통틀어 분석하면 결과가 다를 가능성도 있다는 과제를 제시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