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한 상호관세 정책 이른바 트럼프 관세를 둘러싸고 발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될 것 같다는 소문이 확산되면서 단 2시간 만에 수조 달러 규모 시장 변동이 발생했다. 결과적으로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사건의 발단은 4월 7일 아침에 방송된 폭스 뉴스였다. 진행자인 브라이언 킬미드가 국가경제위원회(NEC) 케빈 해셋 위원장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발동을 90일간 일시 정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냐고 묻자 해셋 위원장은 결정은 대통령이 내릴 것이라며 직접적인 답변을 피했다.
해셋 위원장은 일시 정지한다고도 하지 않는다고도 명확히 말하지 않았지만 엑스에서는 해당 발언이 중국 외 국가에 대한 관세 발동을 90일간 정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식으로 내용이 왜곡되어 확산됐다. 보도에 따르면 인증 배지를 단 계정들이 해당 정보를 퍼뜨리자 다른 언론사도 이를 인용 보도하기 시작했다.
KILMEADE: Would Trump consider a 90 days pause in tariffs?
— Aaron Rupar (@atrupar) April 7, 2025
HASSETT: I think the president is gonna decide what the president is gonna decide … even if you think there will be some negative effect from the trade side, that's still a small share of GDP pic.twitter.com/3KymvgOwQG
보도에선 해셋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외 국가에 대한 관세 발동을 정지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며 이로 인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다는 내용을 담았다. 현장 기자도 아침 일찍 하락세였던 주가 지수가 급등했고 시장에서는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또 월터 블룸버그(Walter Bloomberg)라는 엑스 계정이 해당 뉴스를 게시하면서 상황은 더 확산됐다. 이 계정은 유명 경제지 블룸버그와는 무관하지만 85만 명 이상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뉴스 속보를 자주 올리는 계정이다. 이 계정 게시로 인해 관세 일시 정지는 엑스에서 트렌드 상위로 올라섰고 CNBC 생방송에 출연한 애널리스트가 이를 확인한 뒤 관세 일시 정지 이슈를 언급하면서 정보 확산과 시장 반응이 서로 맞물리는 순환 구조가 형성됐다.
그 결과 미국 증시는 오전 10시 8분부터 10시 18분까지 단 10분 사이에 2조 4,000억 달러 규모 변동이 발생했다.
the Dow turns positive as CNBC talks about reporting that Kevin Hassett is saying Trump is considering a 90 day pause on tariffs for all countries other than China pic.twitter.com/ODJOsGVqWU
— Aaron Rupar (@atrupar) April 7, 2025
이후 해당 정보는 백악관 측 부인으로 인해 진정됐고 관련 보도를 철회했으며 월터 블룸버그 계정도 해당 게시물을 삭제했다.
가짜뉴스를 연구하는 한 전문가는 SNS, 그 중에서도 엑스는 소문은 빠르게 퍼지고 정정은 훨씬 늦게 이뤄지도록 설계돼 있다며 특정 주장 출처를 파악하는 게 어려운 경우가 많고 사실 확인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일론 머스크 인수 이후 변경된 계정 인증 시스템은 이용자가 어떤 계정 어떤 정보를 신뢰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일을 과거보다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주변기기 제조사인 레이저(Razer)는 4월 1일부터 예약 접수를 시작한 RTX 5090 랩톱 탑재 16인치 노트북 모델인 레이저 블레이드 16(Razer Blade 16) 제품 페이지를 폐쇄했다. 해당 페이지에 접속하면 404 오류가 발생하며 제품을 구매할 수 없는 상태다.
또 현재 레이저 공식 스토어 내 게이밍 랩톱(Gaming Laptops) 항목을 클릭해도 노트북 본체가 아닌 노트북용 스티커나 PC 액세서리만 표시되고 있어 노트북 관련 제품 판매가 전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보도에선 이번 레이저 노트북 판매 중단 조치가 4월 5일부터 발효된 상호관세 조치 영향일 것으로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대국 관세율 및 비관세 장벽에 대응해 미국 관세를 인상하는 상호관세 제도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각국에 대한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했다. 이 조치에 따라 노트북 주요 부품을 제조하는 중국이나 대만산 제품에 높은 관세가 적용되면서 PC 제조업체는 직접적인 타격을 입고 있다.
실제로 모듈형 노트북을 제작하는 업체 프레임워크(Framework)는 4월 8일 관세 인상으로 인해 최저 사양 모델은 적자가 불가피하다며 일부 모델 판매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닌텐도 역시 4월 9일부터 예약 주문을 시작할 예정이던 닌텐도 스위치 2 예약 접수를 상호관세 도입 영향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가하면 미국 대형 반도체 제조업체 마이크론(Micron)이 고객에게 4월 9일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한다는 내용을 통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호관세 제도 도입에 따라 중국, 대만, 싱가포르 등지에서 생산 활동을 해온 첨단 산업계는 큰 타격을 받고 있으며 상호관세 도입 발표 직후 애플, 엔비디아 등 기업 주가가 급락했다.
마이크론 역시 중국,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에 제조 거점을 보유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마이크론은 고객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도입한 새로운 관세 영향을 고려해 4월 9일부터 일부 제품에 추가 요금을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할 방침이다.
가격 인상 대상은 메모리 모듈과 SSD 등이며 이들 제품은 자동차, 노트북, 데이터센터용 서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론의 주요 고객 및 공급사에는 애플, 레노버, 델, 엔비디아 등 다수 글로벌 IT 기업이 포함돼 있어 이들 기업도 마이크론 가격 인상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반도체 자체는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에 마이크론 주력 품목인 반도체 제품에 대한 가격 인상은 시행되지 않을 예정이다.
마이크론은 지난 3월 말에도 자사 제품에 대한 예상치 못한 수요 증가를 이유로 가격 인상을 고객에게 통보한 바 있으며 당시 마이크론 고위 관계자는 관세 영향을 받는 지역 고객에게 가격 인상이라는 형태로 비용을 전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가격 인상은 마이크론뿐만이 아니다. 한 아시아 NAND 모듈 제조사 고위 관계자는 미국 고객이 가격 인상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자사는 제품을 출하할 수 없다며 미국 정부가 내린 결정에 대해 자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건 부당하며 이런 세율 하에서는 어떤 기업도 직접 부담을 짊어 지겠다고 말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호관세 정책 영향으로 미국에서는 닌텐도 스위치 2 예약 주문이 연기된 바 있다. 이에 이어 캐나다에서도 닌텐도 스위치 2 예약 주문이 연기된 것으로 밝혀졌다.
닌텐도는 4월 2일 방송(Nintendo Direct: Nintendo Switch 2)을 통해 닌텐도 스위치 2 상세 정보를 공개했다. 닌텐도 스위치 2 출시일은 오는 6월 5일이다. 또 해당 방송에서는 프롬소프트웨어 신작인 더 더스크블러즈(The Duskbloods), 22년 만에 나오는 에어라이드 시리즈 신작인 커비의 에어라이더 등 다양한 신작 게임 정보도 함께 공개됐다.
미국에서는 원래 4월 9일부터 닌텐도 스위치 2 예약 주문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관세 및 시장 상황 변화를 이유로 예약 개시일이 연기됐다. 다만 본체 출시일인 6월 5일에는 변동이 없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번 미국 내 예약 연기 조치는 캐나다에도 영향을 미쳤다. 북미 대륙 내 인접 국가인 캐나다 역시 트럼프 관세에 대한 간접적 영향을 받게 된 것이다.
닌텐도 캐나다 법인 공식 성명에 따르면 닌텐도 스위치 2 캐나다 예약 주문은 미국에서 정해진 예약 일정에 맞추기 위해 4월 9일에는 시작되지 않으며 닌텐도는 추후 예약 일정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제품 출시일인 2025년 6월 5일은 변경되지 않는다고 명시돼 있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