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킨지앤컴퍼니가 직원 절반 이상이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AI 기술 발전으로 AI와 일할 기회는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AI와의 협력은 작업 부담을 줄이고 번아웃 증후군을 피하는데 도움이 되는 장점도 있지만 불면증과 음주량 증가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판명됐다고 한다.
AI 혁명이 도래하고 AI 시스템이 근로자 업무와 삶에 더 깊이 관여하면서 근로자는 지금까지의 업무가 바뀌어 인간 동료가 아니라 AI와 교환하게 되는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AI 시스템의 빠른 진보는 새로운 산업혁명을 위한 불쏘시개 같은 역할로 많은 이익을 가져오는 한편 직원에게 정신적 또는 육체적 피해를 줄 가능성 같은 알려지지 않을 위험도 있다는 것.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AI 시스템을 이용해 격리하는 건 사생활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AI와 함께 일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조지아대학 연구팀은 미국,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4곳에서 실제로 직장에 AI를 도입한 기업에서 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사회와의 연결에 불안감이나 걱정을 느끼는 경향인 애착 불안(attachment anxiety) 수준이 높은 노동자일수록 AI 시스템을 사용한 일에 대한 외로움과 불면증 같은 부정적 반응과 동료를 도울 가능성이 높다는 긍정적 반응이 모두 강하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대만 바이오메디컬 기업에서 AI 시스템을 다루는 엔지니어 166명을 대상으로 한 3주간 조사에선 AI와의 상호작용이 많은 직원일수록 외로움과 불면증, 업무 후 알코올 섭취를 경험하기 쉬웠다. 반면 동료를 돕는 행동도 많이 보였다. 또 인도네시아 부동산 컨설턴트 12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선 대상자를 3일간 가능하면 AI를 사용하는 그룹과 사용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눈 결과 AI를 적극 사용한 그룹은 고독감이나 불면증 등이 많이 발생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에선 음주가 금지된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이 많아 음주량 증가는 없었다.
미국 사회인 214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실험이나 말레이시아 기술 기업 직원 294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대만이나 인도네시아 경우와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런 조사와 실험 중 AI를 자주 사용하는 근로자는 동료를 잘 도와준다는 겉보기에는 긍정적인 결과도 얻었지만 연구팀은 이 반응은 이들이 외로움을 느끼거나 사회적 접촉을 추구했기 때문에 발생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 연구는 AI 사용과 외로움 같은 증상간 상관관계를 보여줬으며 AI 사용이 정신 건강 문제를 일으켰다는 인과 관계를 입증하지 않았다는 걸 유의해야 한다. 더구나 연구팀은 앞으로 AI 기술 개발자는 AI에 인간 목소리 같은 사회적 기능을 갖게 하고 인간과의 상호 작용을 에뮬레이트하는 걸 검토해야 한다며 고용주는 AI를 사용한 작업 빈도를 제한하고 직원에게 사회적 접촉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잠재적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곧 행동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