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메타, 제품 리스크 평가 대부분을 AI로 대체?

보도에서 독자 입수한 메타 내부 문서에서 동사가 자사 제품 프라이버시 리스크 평가 대부분을 인간에서 AI로 대체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게 밝혀졌다.

메타는 사명 변경 이전 그러니까 아직 페이스북이었던 시절인 2012년 프라이버시 설정을 둘러싼 소송에서 연방거래위원회(FTC)와 화해했다. 이때 메타는 FTC로부터 페이스북 제품 프라이버시 리뷰를 실시하고 잠재적인 업데이트의 리스크를 평가할 걸 의무화받았다. 지금까지 이 메타 제품 프라이버시 리뷰는 인간 평가자에 의해 수행되어 왔지만 최대 90%가 AI에 의한 평가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밝혀졌다.

메타 내부 문서에 따르면 이 새로운 AI 프라이버시 리뷰 시스템에서는 제품팀이 업무에 관한 설문조사에 답하는 게 요구된다. 그리고 AI가 특정한 프라이버시상 리스크와 업데이트나 기능이 출시 전에 충족해야 하는 요건이 즉시 결정된다고 한다.

이 AI를 활용한 접근법을 통해 메타는 제품을 더 빠르게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메타 전 임원이라는 익명 인물은 제품 변경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세계에 문제를 일으키기 전에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리스크가 발생한다며 인간을 AI로 대체하는 리스크에 대해 언급했다.

메타 측 관계자는 자사는 프라이버시 프로그램에 8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있으며 규제상 의무를 충족하면서 이들에게 혁신 제품을 제공하는 데 전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리스크가 진화하고 프로그램이 성숙해짐에 따라 리스크를 더 적절히 특정하고 의사결정을 효율화하며 직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세스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저위험 의사결정에는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기술을 활용하고 신규 또는 복잡한 문제에 대한 엄격한 평가와 감시에는 인간 전문지식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혀 인간에 의한 프라이버시 리뷰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석원 기자

월간 아하PC, HowPC 잡지시대를 거쳐 지디넷, 전자신문인터넷 부장, 컨슈머저널 이버즈 편집장, 테크홀릭 발행인, 벤처스퀘어 편집장 등 온라인 IT 매체에서 '기술시대'를 지켜봐 왔다. 여전히 활력 넘치게 변화하는 이 시장이 궁금하다.

뉴스레터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