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앞으로 25년 뒤…북극 해빙 모두 사라진다

2025년 현재 북극 해빙은 관측 역사상 연간 최소 규모를 기록했다. 남극 해빙 역시 1970년대 후반 계측 시작 이래 최소 기록 갱신에 근접하고 있다.

BBC가 미국립빙설데이터센터(NSIDC)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5년 2월 9~13일 5일간 북극과 남극 해빙 총면적은 1,576만km2였다. 이는 2023년 1~2월 5일간 최저 기록인 1,593만 km2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온난화로 인한 북극 해빙 감소는 현저해 여름 말 해빙 범위를 비교하면 1980년대 평균 700만 km2에서 2010년대에는 450만km2로 감소했다.

한편 남극 해빙은 예측과 달리 녹지 않고 버티고 있었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는 상당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원래 남극 해빙은 북극보다 얇고 이동이 쉽다. 또 북극과 달리 대륙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고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바람에 의한 파괴도 많이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2024년 여름은 남극 빙붕은 고온으로 인한 표면 융해가 극심했으며 2023년에도 기록적으로 작아졌지만 2025년은 이를 더 하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영국남극관측국 관계자는 12월과 1월 대기 조건이 빙붕 표면 융해를 강하게 촉진하는 것으로 보였다고 밝혔다.

북극은 지구 전체 평균 4배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수십 년에 걸친 해빙 감소는 거의 확실하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따르면 북극은 적어도 한 번, 2050년까지 여름 말에 해빙이 거의 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보다 더 빨리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되고 있다. 북극과 남극 주변 해빙 감소는 북극곰과 펭귄 등 야생동물, 그리고 지구 기후에도 영향을 미친다.

해빙은 태양 에너지 대부분을 우주로 반사하는 거대한 거울처럼 기능하며 지구 전체 열을 분배, 지구를 냉각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영국이나 북서유럽 등 비교적 온난한 바다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2024년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1980년대 초반부터 중반에 걸쳐 밝고 반사성이 있는 얼음 면적이 감소했기 때문에 극지 해빙은 냉각 효과 14%를 상실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원영 기자

컴퓨터 전문 월간지인 편집장을 지내고 가격비교쇼핑몰 다나와를 거치며 인터넷 비즈니스 기획 관련 업무를 두루 섭렵했다. 현재는 디지털 IT에 아날로그 감성을 접목해 수작업으로 마우스 패드를 제작 · 판매하는 상상공작소(www.glasspad.co.kr)를 직접 운영하고 있다. 동시에 IT와 기술의 새로운 만남을 즐기는 마음으로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뉴스레터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