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유전자 조작 아기와 DNA 개인 정보

중국 과학자들이 얼마 전 DNA 게놈 배열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기술인 CRISPR-Cas9를 이용해 유전자 조작을 한 쌍둥이 여아가 탄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HIV에 내성을 가진 아기인 루루와 나나가 탄생했다고 밝힌 것. 물론 이 같은 일은 논문 심사가 진행되는 학술지에 발표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내용 자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동시에 윤리적 문제가 있다는 비판도 함께 뒤따르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한 건 허젠쿠이(賀建奎) 남부과학기술대 부교수. 그는 동영상을 통해 실험 경위와 의미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 실험에는 부부 7쌍이 협력했고 어머니 자궁에서 채취한 난자에 남편의 정자를 주입하는 인공 수정을 진행했다고 한다. 인공수정을 실시할 때에는 유전자 조작을 해 에이즈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할 수 없도록 했다고 한다. 수정이 확인된 수정란 성장 초기 단계에서 이상이 없는 것도 확인했으며 해당 수정란을 어머니 자궁에 되돌려놨다고 한다.

이후 어머니 1명에게서 쌍둥이 아기가 11월 초 탄생했다. 건강 검진에서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또 쌍둥이 유전자에 대해서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HIV 내성에 관한 부분 외에는 아무 이상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행위에 대해 과학계에선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윤리 문제를 아예 무시하고 진행한 실험은 인체 실험이라는 비난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윤리 문제를 무시한 시도라는 말은 중국인 과학자 122명도 연명해 참여했다. 중국 당국도 조사에 나서는 등 파문을 불러왔다. 중국인 과학자 비난 성명에선 미쳤다고 밖에 할 수 없는 인체 실험이며 인류 전체에 대한 위험이라는 규탄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윤리적 절차를 거치지 않고 심천 대학의 관여도 일체 부정하고 있다.

허젠쿠이 부교수에 따르면 쌍둥이 아버지는 HIV 감염자라고 한다. 자신의 질병 탓에 다른 아이를 가질 수 없다고 여겼지만 이번 실험을 통해 아이를 낳을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유전자 조작 기술을 질병 예방 분야에 이용한 역사적 조치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과학계의 견해를 완전히 무시한 그의 시도에 대해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건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앞서 밝혔듯 연구 자체에 대한 의심이나 윤리적 문제 등이 나오고 있지만 유전자 편집에 의해 탄생한 아이에게는 유전적 개인 정보가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생명윤리학자인 켈리 힐스는 사람들은 유전자 편집으로 탄생한 아기를 보고 싶을 것이라면서 태어난 아이가 호기심의 대상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연구진은 아이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본명을 숨긴 상태에서 발표할 수도 있지만 이보다 문제가 되는 건 유전자 편집된 아기의 유전자 정보라는 지적이다.

유전자 편집 관련 전문가들은 도대체 어떤 유전자 편집이 이뤄져 어떤 유전자에서 태어난 것인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유전자 편집 기술이 실제로 이뤄졌다는 증거를 위해서도 아이의 유전 정보가 공유될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유전 정보만으로도 개인은 식별하기에는 충분할 수 있다. 본명을 밝히지 않아도 유전 정보만으로 개인 식별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

1970∼80년대에 걸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연쇄 살인 사건인 골든스테이트 킬러의 수사를 예로 들면 이 사건은 범인이 수많은 살인과 강간을 하고 현장에 범인 DNA도 남아 있었지만 경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건으로 체포된 범인 DNA와 일치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민간 DNA 분석 기업이 나오면서 경찰 수사가 진행됐고 한 DNA 분석기업(GEDmatch)이 사용자 DNA 정보를 입수해 등록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해 가계도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경찰은 범인의 유전자 정보를 여기에 올려 범인의 먼 친척으로 여겨지는 인물을 파악했고 이 단서를 통해 범인 가능성이 높은 가계도를 구축했다. 심지어 범인이 될 수 있을 만한 인물도 검색했다. 그 결과 지난 4월 72세 조세프 제임스 드앤젤로(72‧Joseph James DeAngelo)를 범인으로 체포할 수 있었다.

이 사건은 과학 기술 수사의 진전에 따른 미해결 사건이 극적으로 해결됐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반면 웹사이트에 올린 유전자 정보의 프라이버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예를 들어 범인 자신은 DNA 검사를 받은 건 아니지만 먼 친척이 DNA 정보를 올려 결국 본인이 특정된 것이다. 올해 10월에는 연구원이 유럽계 미국인 중 60%는 오픈소스 DNA 정보와 가까운 친척 관계에 있다는 내용을 발표하고 많은 이들은 용의자처럼 친척 DNA 정보에서도 자신이 특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평소 과학적 검증 과정을 할 경우 자녀의 유전자 정보 대부분이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쌍둥이 유전자가 얼마나 노출될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자 편집에 성공한 쌍둥이가 탄생했다는 사실이 워낙 사건이어서 아이 뿐 아니라 부모의 DNA 정보도 발표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아이와 부모의 유전자 정보를 알고 싶어 할 가능성이 높다. 비록 유전적 정보에 과학자만 접근할 수 있다고 해도 장기적으로 보면 DNA 정보를 이용해 쌍둥이 개인 정보를 특정하는 인물이 나올 가능성도 충분하다. 이런 점에서 유전적 개인 정보 문제는 아직 생명윤리학자와 과학자가 해결하지 못한 문제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쌍둥이의 DNA 정보는 일부 제한된 연구자에게만 공개되어 많은 정보를 비공개로 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석원 기자

월간 아하PC, HowPC 잡지시대를 거쳐 지디넷, 전자신문인터넷 부장, 컨슈머저널 이버즈 편집장, 테크홀릭 발행인, 벤처스퀘어 편집장 등 온라인 IT 매체에서 '기술시대'를 지켜봐 왔다. 여전히 활력 넘치게 변화하는 이 시장이 궁금하다.

뉴스레터 구독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