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中 개도국에 제안한 IPv6+, 요주의 경고

인터넷상 주소와 같은 존재인 IP 주소는 IPv4 주소 고갈 문제가 생기면서 IPv6 이행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IPv6 확장 버전이라는 IPv6+ 도입을 개발도상국에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전문가는 IPv6과 IPv6+가 이름이 비슷하지만 실상은 완전히 다른 프로토콜이라며 경종을 울리고 있다.

IPv6은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배경으로 책정된 프로토콜. 전 세계적으로 IPv4에서 IPv6으로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IPv6 전환 정도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전환이 느리게 진행되는 곳도 많다.

이런 가운데 중국 기술 기업인 화웨이가 2019년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을 발표한 데 이어 2022년에는 IPv6+을 발표했다. IPv6+에 대해 화웨이 공식 사이트에선 IPv6을 업그레이드한 프로토콜이라고 어필하고 있다. 화웨이는 또 IPv6+ 특징으로 대역폭 넓이나 지연 감소, 안전성 등을 들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2년 6월 르완다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 ITU 정례 회의에서 채택된 결의 수정으로 IPv6+ 도입을 요구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IPv6+에 대해 네트워크 전체에서 효율적인 정보 할당이 가능하고 다른 기술과 통합을 통해 네트워크 리소스를 구성할 수 있게 하며 혁신적 솔루션 통합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고 있다.

디지털 인권 관련 비영리단체인 ARTICLE 19 책임자는 중국이 IPv6+ 도입을 개발도상국에 제안하는 건 선진국과의 격차 확대를 우려하는 개발도상국 요구에 부합해 현명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며 개도국이 IPv6+를 받아들이면 화웨이는 개도국 내 수많은 인프라 정비 프로젝트에 관여할 수 있게 된다고 지적하며 IPv6+ 확대가 화웨이에 큰 이익을 가져올 가능성을 언급했다.

또 다른 비영리단체(Center for Democracy and Technology) 기술 책임자는 IPv6+가 화웨이에 의해 개발된 프로토콜이라는 점에 주목해 IPv6+는 IPv6과 같은 국제 기술 표준이 아니라 기업이 개발한 것이라며 용어만 보면 오해를 초래하는 마케팅적 언어라는 말로 중국이 IPv6+를 기술 표준과 같이 어필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석원 기자

월간 아하PC, HowPC 잡지시대를 거쳐 지디넷, 전자신문인터넷 부장, 컨슈머저널 이버즈 편집장, 테크홀릭 발행인, 벤처스퀘어 편집장 등 온라인 IT 매체에서 '기술시대'를 지켜봐 왔다. 여전히 활력 넘치게 변화하는 이 시장이 궁금하다.

뉴스레터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