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 상승과 홍수 피해가 심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새롭게 갑자기 대량 물이 넘치는 것과 반대로 돌발적으로 이상한 물 부족이 발생하는 플래시 가뭄(Flash Droughts) 문제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한다.
매년 최고 기온 기록이 바뀌는 등 급격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게 수만은 기상 관측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텍사스대학 오스틴 지구 과학자인 종 리앙 양(Zong-Liang Yang) 교수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는 급격한 가뭄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있다는 증거라는 것. 따라서 연구팀은 2000-2020년 사이 기상 위성이 관측한 수문 기상 데이터 그러니까 전 세계 각지 강수와 하천 수위 등 물 순환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분석 대상이 된 21년 동안 발생한 가뭄 중 33.64∼46.18%가 가뭄 상태가 될 때까지 5일 밖에 걸리지 않는 플래시 가뭄이었던 게 판명됐다. 가뭄 발생 빈도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가뭄이 되기까지 기간은 짧아지고 있는 게 확인된 것.
연구팀에 따르면 일반적인 홍수는 기상 조건이 겹쳐 5∼6개월에 걸쳐 비교적 천천히 진행된다. 반면 플래시 가뭄 70%는 반월에 발생하고 더구나 30%는 단 5일간 지역을 건조하게 만든다. 그만큼 가뭄은 단기간에 일어나지만 농작물 생육에 중요한 시기 갑자기 물 부족이 발생하면 괴멸적 영향이 나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미국에서 플래시 가뭄이 발생했을 당시 옥수수 수확량이 급감하고 가격이 급등하면서 추정치 357억 달러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플래시 가뭄 영향에 대해 플래시 가뭄은 급속하게 발생하고 조짐이 적고 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유예도 없기 때문에 천천히 발생하는 가뭄보다 농업이나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역별 분석에서 플래시 가뭄은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아마존 분지, 북아메리카 동부, 남미 남부 등 습윤 혹은 반습윤 지역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플래시 가뭄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에선 플래시 가뭄 빈도가 21년간 22∼59%나 높아졌다고 한다.
지금까지 5일간 지역 물이 말라 버리는 것 같은 급속한 가뭄이 발생하는 구조는 해명이 진행되어 있지 않은 현상이다. 연구팀은 플래시 가뭄이 발생하는 과정이나 플래시 가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급격한 발생에 대한 근본 원인을 찾는 연구는 거의 없다면서 앞으로는 지구 온난화 모니터링 외에도 플래시 가뭄 모니터링과 예측에도 힘을 쏟아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