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온난화 부르는 메탄가스, 인공위성으로 감시한다

천연가스 주성분인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80배에 이르는 온실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탄가스는 화석연료 생산과 소비 뿐 아니라 매립지와 대규모 목장에서 사육하는 가축의 트림에서도 발생한다. 이런 메탄가스 배출량을 인공위성에서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기업이 나오고 있다.

기업이나 규제 당국이 메탄가스 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지만 지상에 설치된 센서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실용적이라고 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메탄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아이디어가 나온 것.

인공위성 메탄가스 배출량 감시가 주목받은 건 2016년 경부터다. 캐나다 몬트리올에 위치한 스타트업인 GHGSat이 2016년 발사한 개념 증명용 인공위성이 클레어(Claire)가 지구상 메탄가스 배출량을 높은 정밀도로 모니터링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하루 지구를 15바퀴 도는 클레어는 석유와 천연가스 정제 시설과 발전소, 탄광, 매립지, 목장 등 다양한 장소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해 지난 4월 기준으로 4,000개 이상 관찰 데이터를 검색했다.

클레어가 위성으로부터 메탄가스 배출량 모니터링에 성공하면서 여러 비영리 환경보호단체가 메탄가스 배출량을 모니터링하는 인공위성인 메탄셋(MethaneSAT)을 계획하고 다양한 기업에 협찬을 호소하고 있다. 2021년 예정한 메탄셋 발사가 성공하면 전 세계 주요 석유 천연 가스 생산지 중 80%까지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고 한다.

기업과 정부 등 규제 당국은 이런 민간 위성 모니터링 시도에 감탄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플래닛랩스(Planet Labs)는 캘리포니아 주 당국과 협력해 석유 천연가스 시설, 매립지, 목장 소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특정하는 메탄가스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 같은 샌프란시스코 기업인 블루필드(Bluefield)는 인공위성은 아직 출시하지 않았음에도 이미 일부 석유 기업이나 가스 기업 시설이 배출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는 계약을 맺고 있다고 한다. 블루필드는 2020년 인공위성을 쏘아올릴 예정이다.

하지만 EU 산하 우주 탄소 관측소 SCARBO(Space Carbon Observatory) 관계자에 따르면 이들 민간 기업이 실제로 메탄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사업을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을지 아직 모른다고 말한다. 2019년 기준으로 위성 측정값과 지상 센서 측정값을 비교해 메탄가스 배출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민간 기업이 개발 중인 센서가 메탄가스 배출량 측정에 필요한 정밀도 수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아직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위성 메탄가스 배출량 모니터링이 발전하면 기업이 공장이나 파이프라인에서 메탄 유출을 빠르게 발견하고 배출량 증가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 극초단파에서 위성 데이터에 의해 메탄 배출을 구상한다는 장점도 있다. 한 전문가는 기후 변화는 인간이 건드리지 못하는 어려운 개념인 만큼 메탄이 배출되는 곳이 눈에 보이게 되면 위성 사진을 통해 수많은 사실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석원 기자

월간 아하PC, HowPC 잡지시대를 거쳐 지디넷, 전자신문인터넷 부장, 컨슈머저널 이버즈 편집장, 테크홀릭 발행인, 벤처스퀘어 편집장 등 온라인 IT 매체에서 '기술시대'를 지켜봐 왔다. 여전히 활력 넘치게 변화하는 이 시장이 궁금하다.

뉴스레터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