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인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가 구글 딥마인드와 구글 리서치가 개발한 AI 날씨 예보 모델인 웨더넥스트(WeatherNext)를 기업용으로 제공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웨더넥스트는 기존 물리 기반 날씨 예보 모델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이며 높은 예측 성능으로 각종 업계가 이상 기후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날씨 예보에는 복잡한 기상 시스템 내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며 모든 변수를 설명하거나 측정하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예보는 어려워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열파나 한파, 허리케인 등 이상 기후는 생활과 환경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경제적 손실도 크다. 미국 국립환경정보센터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1980년부터 2024년까지의 44년간 피해액이 10억 달러 이상에 달한 기상 재해가 403건 발생했으며 그 중 27건이 2024년 발생했다.
날씨 예보는 수일을 넘어가면 부정확해지기 때문에 이상 기후에 대비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지만 날씨 예보 모델 웨더넥스트는 AI 기반으로 더 대규모로 데이터를 처리해 정확한 예측을 제공한다.
웨더넥스트에는 웨더넥스트 그래프(WeatherNext Graph)와 웨더넥스트 젠(WeatherNext Gen) 2가지 모델이 있으며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웨더넥스트 그래프는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단일 예측을 제공하는 모델로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정확한 예측을 낼 수 있다. 웨더넥스트 젠은 다양한 기상 시나리오를 예측하는 앙상블 예보에 사용하는 모델로 더 장기적인 기상 이벤트에 대비하고자 할 때 적합하다.
구글 클라우드 측 관계자는 웨더넥스트는 소매 재고, 물류 혼란, 제조 생산 필요, 배전선 유지보수 등 날씨 영향을 받는 업무에 대책하는 기업 접근 방식을 바꾸는 걸 목표로 한다며 웨더넥스트를 제공해 기업은 기상 패턴 변화에 따라 더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하고 인프라를 더 적절하게 보호하며 더 강력한 비즈니스 연속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웨더넥스트를 고객에게 공개하는 의의에 대해 구글 딥마인드 관계자는 웨더넥스트를 기업에 공개해 그 응용 범위가 연구실에서 현실 세계로 확장된다며 이를 통해 기업은 이상 기후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지역 사회에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구글은 웨더넥스트에 대해 이상 기후를 예측하고 대책할 수 있는 이점 외에도 재생 가능 에너지 인프라를 어디에 건설할지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AI 날씨 예보 모델에 대한 접근 방식은 아직 발전 중이기 때문에 대기와 해양에 관한 조사 및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미국 정부 기관인 미국 해양대기청(NOAA)과 구글 딥마인드가 협력해 연구를 진행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