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먼 바다로 나갈 수 없는 해양 생물이 플라스틱 폐기물이 감도는 태평양 쓰레기 벨트에 모여 새로운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있다는 게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바다에 버려진 폐기물은 유기물이라면 몇 개월, 길어도 몇 년 만에 분해되어 바다 바닥에 가라앉는 반면 플라스틱 폐기물은 훨씬 오랫동안 바다에 떠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생물은 플라스틱 폐기물에 붙어 먼 바아에서 살아남아 번식할 수 있다.
스미소니언환경연구센터 연구팀은 이런 플라스틱 폐기물에 어떤 생물이 부착되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 사이 태평양 쓰레기 벨트에서 회수한 플라스틱 폐기물 105개를 조사했다.
그 결과 플라스틱 폐기물에는 46종, 484체 해양 무척추 동물이 부착되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중 80%는 보통 해안에서 발견되는 종류였다. 플라스틱에 생물이 부착해 표류한 예는 지금까지 많이 확인됐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에는 쓰나미에 밀려온 플라스틱에 생물이 달라붙어 북태평양을 횡단한 게 알려졌다. 2017년 북미와 하와이에서 채취된 쓰레기에는 6년간 수백 종 무척추 동물이 붙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해안에 서식하는 생물이 먼 바다를 항해하는 예는 확인되어 왔지만 어떤 종류 생물이 이런 경험을 하는지 등 구체적인 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에 채취한 플라스틱 폐기물에선 갑각류나 말미잘, 브리오조아 등이 발견됐다고 한다. 이런 생물은 살아남을 뿐 아니라 새끼를 만들고 번영을 이룰 정도였다고 보고된다. 하지만 플라스틱이 회수된 지점은 푸드 디저트라고 불릴 정도로 미끼가 적은 변경 해역이었기 때문에 생물이 어떻게 먹이를 획득하고 어떻게 살아남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해류에 의해 쓰레기가 모이는 태평양 쓰레기 벨트에는 추정 8만 톤 플라스틱 폐기물이 있다고 한다. 유엔환경계획 UNEP에 따르면 전 세계에선 연간 4억 6,000만 톤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재활용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9% 정도이며 22%는 관리가 잘못 되어 쓰레기로 폐기되어 해양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고 한다. 긴급 정책 조치가 없으면 플라스틱 폐기물이 해양으로 유입되는 비율은 2023년에서 2040년에 걸쳐 2.6배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폐기물은 해안 생물이 새로운 서식지에 침입하기 위한 루트가 되어 버리고 있다면서 해안 무척추 동물이 표류물을 타고 바다에 나오면 해양 커뮤니티를 근본적으로 바꿀지도 모른다고 지적한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