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1천년전 금화에 초신성 폭발 기록 가능성?

대질량 항성이나 백색왜성이 스스로 중력이 부서져 대폭발을 일으키는 초신성 폭발은 어쩔 수 없는 엄청난 에너지를 단번에 방출하기 때문에 규모에 따라선 수만 광년 떨어진 지구에서도 육안으로 며칠간 확인 가능하며 낮에도 관찰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초신성 폭발은 역사 기록에 남아 있는 경우도 많다. 1,000년 전 만들어진 금화에도 초신성 폭발이 기록되어 있었다는 연구가 다국적 연구팀에 의해 발표되어 눈길을 끈다.

초신성 폭발 기록이 발견되는 건 예로부터 점술로 별 관찰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문화를 가진 국가나 지역이 많았지만 유럽에서 널리 믿었던 기독교 문헌에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이유 중 하나는 기독교는 하나님이 만든 우주는 완벽하고 불가침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초신성 폭발 같은 큰 변화를 지적하는 건 배교 행위로 생각됐다.

하지만 기독교 영향이 강한 중세 유럽 학술계와는 달리 초신성 폭발 기록이 남아 있을 수 있으며 화폐 디자인도 그 중 하나다. 이번 논문에서 다뤄진 건 비잔틴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 치세 중인 1054∼1055년 주조된 것으로 보이는 금화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IV 금화다.

이 금화에는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 초상이 있지만 머리 좌우에 별 2개가 배치되어 있다. 1054년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게 중국 문헌으로 밝혀지고 있어 당시 밤이면 누구라도 육안으로 확실히 관측할 수 있는 규모였다고 한다. 연구팀은 태양이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 머리 바로 뒤에 그려져 있으며 금화에 그려진 별 2개 중 하나는 새벽 명성인 금성, 또 다른 별은 1054년 초신성 폭발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 IV 금화는 전 세계에 36개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 어떤 것에도 별 2개가 그려져 있지만 별 1개 크기는 코인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연구팀은 이 별 크기 변화가 초신성 폭발 감광을 반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연구팀은 금화가 주조된 구체적인 월일을 모르고 더 구체적인 물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금화 디자인에 초신성 폭발이 채택됐다는 건 어디까지나 가설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원영 기자

컴퓨터 전문 월간지인 편집장을 지내고 가격비교쇼핑몰 다나와를 거치며 인터넷 비즈니스 기획 관련 업무를 두루 섭렵했다. 현재는 디지털 IT에 아날로그 감성을 접목해 수작업으로 마우스 패드를 제작 · 판매하는 상상공작소(www.glasspad.co.kr)를 직접 운영하고 있다. 동시에 IT와 기술의 새로운 만남을 즐기는 마음으로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뉴스레터 구독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