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알파넷이 태어난 날

지난 1969년 10월 29일 인터넷의 전신인 알파넷(ARPANET)이 탄생했다. 지난 10월 29일은 인터넷 50주년을 맞은 것.

알파넷 탄생 배경에는 미국과 소년간 냉전이라는 존재가 있었다.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성공하자 미국은 과학 기술에서 소련에 뒤처지고 있다는 충격에 빠진다. 이를 스푸트니크 쇼크라고 한다.

1958년 1월 미국은 소련의 약진에 대비해 첨단 과학 기술을 단기간에 군사 기술로 전용하기 위한 조직인 고등연구계획국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을 설립한다. ARPA는 1996년 개칭해 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 DARPA로 알려지게 된다.

1960년대 ARPA는 연구 일환으로 컴퓨터 개발에 자금을 투자했지만 당시 컴퓨터는 컴퓨터마다 언어가 다르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 문제에 직면한 건 인터넷의 선구자로 불리는 로버트 테일러다. 그의 사무실에는 3가지 종류 컴퓨터가 존재했다. 대학과 통신 중에 다른 대학과 통신이 필요하면 다른 터미널 앞까지 일부러 가서 로그인을 하고 연락해야 했다. 테일러는 이런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3가지 단말로 개별적으로 통신하는 게 아니라 한 단말로 각각 다른 언어를 갖춘 3개 단말과 통신한다는 아이디어를 고안했다.

실무적 측면에서도 단말끼리 네트워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테일러는 대학 연구팀으로부터 더 고성능 컴퓨터를 갖고 싶다는 요청을 받고 있었지만 반면 대학마다 컴퓨터 능력을 낭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다.

이런 낭비의 원인 중 하나는 시차다. 미국은 땅덩어리가 큰 탓에 미국 서해안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스탠포드연구소에선 컴퓨터 성능을 최대한 사용하고도 동해안에 있는 MIT에서 영업시간 외에 컴퓨터를 사용하는 일은 없었다. 따라서 미국 내에 놓인 컴퓨터를 합산해보면 여기에선 성능이 부족하지만 저쪽에는 남아 있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또 다른 원인은 컴퓨터가 갖춘 소프트웨어다. 당시 상황은 유타대학교가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개발해도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면 새로운 컴퓨터를 구입하도록 ARPA에 신청하거나 유타대학에 갈 수밖에 없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해주는 게 컴퓨터간 상호 연결이었던 셈이다.

1966년 ARAP 정보기술 처리 국장에 취임한 테일러는 원격지 컴퓨터끼리 연결해 콘텐츠와 리소스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언어와 프로토콜인 알파넷 개발을 시도한다. 이 연구는 파괴 불가능한 네트워크를 개발한다는 이유로 ARPA 내 탄도미사일 개발 자금 중 일부를 할당 받아 진행한다.

알파넷은 UCLA에서 컴퓨터 과학을 가르치던 레너드 클라인록(Leonard Kleinrock)의 대기이론(Queueing theory)을 바탕으로 개발했다. 대기이론은 다양한 통신 세선에서의 데이터 패킷에 동적 링크를 만드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분석한 것이었다. 1969년 클라인록이 이끄는 연구팀은 라우터의 원형이 된 네트워크간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IMP(Interface Message Processor)를 개발한다. IMP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도 개발해 IMP는 UCLA에 놓인 SDS 시그마7과 스탠포드연구소 내 SDS 940 컴퓨터에 연결했다.

알파넷을 이용한 초기 통신을 하는 프로젝트 마감일은 1969년 10월 31일이었다. 연구팀은 매일 15시간씩 매달려 마감 이틀 전인 10월 29일 프리 알파 테스트에 도달한다. 알파넷으로 처음 메시지를 전송한 건 1969년 10월 29일 10시 30분이다. UCLA 학생 프로그래머였던 찰리 클라인이 알파넷에서 로그인 명령을 전송하고 수신한 스탠포드연구소 SDS 940이 로그인 명령을 인식, 특정 모드가 시작됐는지 확인 목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하지만 로그인 스펠링 중 lo를 보낸 단계에서 스탠포드대학 측 SDS 940과 충돌을 일으킨 결과 알파넷에서 처음 전송한 메시지는 lo가 됐다.

알파넷은 첫 메시지를 보내고 1개월 뒤 UCLA와 스탠포드연구소, 캘리포니아대학 산타바바라, 유타대학을 상호 연결한다. 이어 1970년대와 80년대 정부와 대학, 기타 연구 기관을 통해 네트워크 확장을 계속하게 된다.

1969년 알파넷이 탄생할 때 컴퓨터 네트워크는 아직 초기 단계였다. 하지만 미래에 기술이 성숙해 전기나 전화처럼 어느 가정이나 사무실에까지 보급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젠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해 인터넷은 사무실 뿐 아니라 전 세계 거의 어디서나 쓸 수 있게 됐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석원 기자

월간 아하PC, HowPC 잡지시대를 거쳐 지디넷, 전자신문인터넷 부장, 컨슈머저널 이버즈 편집장, 테크홀릭 발행인, 벤처스퀘어 편집장 등 온라인 IT 매체에서 '기술시대'를 지켜봐 왔다. 여전히 활력 넘치게 변화하는 이 시장이 궁금하다.

뉴스레터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