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위클리 팟캐스트] 로봇 AI 모델 발표한 구글‧애플, 퍼플렉시티 인수 검토중?

해커원은 보안 취약점을 발견한 해커에게 기업이 포상금을 지급하는 플랫폼인데요. 이런 해커원 리더보드에서 AI가 완전 자동으로 침투 테스트를 실행해 취약점을 발견하고 리포트 생성까지 수행하는 자율형 침투 테스터 XBOW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취약점 공개 프로그램 기관 부문에서 인간 해커를 제치고 1위 자리를 획득했다고 합니다.

물론 6월 25일 기준 랭킹을 보면 미국 내 랭킹은 1위지만 버그 포상금 프로그램을 포함한 종합 랭킹에서는 세계 6위에 그쳐 세계 최고 수준 인간 전문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결과지만 처음 1위에 올랐다는 것 자체가 시선을 끄는 건 분명합니다.

유튜브는 지원 페이지를 업데이트해 오는 7월 22일 이후 유튜브에서 라이브 스트리밍 최소 연령을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유투브 측은 만일 16세 미만 사용자가 7월 22일 이후에도 성인 동반 없이 라이브 스트리밍을 계속하는 경우 라이브 채팅이 비활성화되고 기타 기능에 대한 액세스가 일시적으로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구글이 6월 24일 로봇용 VLA 모델인 제미나이 로보틱스 온디바이스를 발표했습니다. 이 모델은 로컬 GPU를 사용해 실행할 수 있을 만큼 경량화되어 있으면서도 기존 로컬 VLA 모델과 비교해 더 뛰어난 성능을 지니는 게 특징인데요. 인터넷 연결 없이도 실행할 수 있어 낮은 지연시간이 중요한 작업에서 강점을 발휘합니다. 소형화된 모델이지만 자연어 명령을 이해해 가방 지퍼를 여는 등 정밀한 동작도 수행 가능하다고 하네요.

애플이 AI 검색엔진인 퍼플렉시티를 제공하는 AI 스타트업인 퍼플렉시티AI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다만 인수에 관한 협의는 어디까지나 초기 단계에 있으며 애플은 아직 퍼플렉시티AI에 대해 구체적인 인수 제안 등을 하지 않았고 사내 협의가 정식 제안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편 메타 역시 씽킹머신스랩 외에도 퍼플렉시티AI, 세이프슈퍼인텔리전스 등 여러 AI 기업에 인수 제안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중국 AI 스타트업인 딥시크가 오픈소스 범주를 넘어선 정보 제공을 중국 정부에 하고 있다고 미국 정부 고위관리가 발언해 눈길을 끕니다. 또 딥시크는 미국 AI 칩 수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 더미 회사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는데요. 딥시크는 현재 이런 프라이버시상의 우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관철하고 있어 실제로 어느 정도 정보가 중국 정부에 제공되고 있는지는 불명확한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이석원 기자

월간 아하PC, HowPC 잡지시대를 거쳐 지디넷, 전자신문인터넷 부장, 컨슈머저널 이버즈 편집장, 테크홀릭 발행인, 벤처스퀘어 편집장 등 온라인 IT 매체에서 '기술시대'를 지켜봐 왔다. 여전히 활력 넘치게 변화하는 이 시장이 궁금하다.

뉴스레터 구독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