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웨이모(Waymo)가 미국에서 자율주행차 생산 거점을 확장하고 있다. 웨이모는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인 웨이모 원(Waymo One)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내에서는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오스틴에서 매주 25만 건 이상 유료 승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6년에는 애틀랜타, 마이애미, 워싱턴 D.C.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웨이모 원 규모를 확대하고 증가하는 이용자 수요에 대응하려면 범용성이 높은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인 웨이모 드라이버(Waymo Driver)가 탑재된 차량 증산이 필수적이다. 미국 내 웨이모 원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웨이모는 자동차 부품 제조사 마그나(Magna)와 제휴해 애리조나주 메사에 새로운 웨이모 드라이버 통합 공장을 건설했다.
이 공장은 7.3만 제곱미터 규모로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투자가 이뤄졌으며 현지에서 수백 명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이 공장에서는 재규어 I-PACE 차량에 웨이모 드라이버를 통합하는 작업이 이뤄진다.
이에 대해 애리조나주 케이티 홉스 주지사는 메사에 건설된 웨이모와 마그나 산 공장은 애리조나가 기술 혁신과 성장을 이끄는 거점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최신 사례라며 자율주행차가 매일 도시를 달리며 안전하게 목적지로 데려다주는 현실이 자랑스럽다고 밝히면서 이 새로운 생산 공장은 그 존재감을 더 확대하며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은 애리조나 기술 경제가 세계 무대에서 성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웨이모 원은 최근 몇 년간 크게 성장했고 이용자 증가에 따라 운영 차량 수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피닉스, 오스틴에서는 1,500대 이상 차량이 운영 중이며 2026년까지 추가로 2,000대 이상 웨이모 드라이버 탑재 재규어 I-PACE 차량이 도입될 예정이다.
웨이모 운영 담당 부사장인 라이언 맥나마라는 메사에 신설된 웨이모 드라이버 통합 공장은 자사의 미래 성장 전략 핵심이며 마그나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비용 효율성과 유연성, 생산 능력을 강화해 차량 라인업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생산 거점이라고 말했다.
웨이모 드라이버 통합 공장은 유연한 설계 덕분에 2025년부터는 중국 자동차 제조사 지커(Zeekr) 전기차 RT를 포함한 다양한 차량에도 웨이모 드라이버를 통합할 수 있게 된다. 다수 차량 플랫폼을 동시에 대량으로 생산해야 하는 만큼 이 공장에서는 자동화 조립라인 등 효율화 방안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며 향후 공장이 완전 가동되면 연간 수만 대에 이르는 완전 자율주행차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메사에서 생산된 완전 자율주행차는 공장에서 출고 즉시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 공장을 출발한 뒤 30분 이내에 승객을 태우는 게 가능하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메사 웨이모 드라이버 통합 공장은 2024년 10월 개소됐다. 보도에 따르면 이 공장에서는 웨이모가 독자적으로 설계한 컴퓨터,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을 탑재한 재규어 I-PACE가 하루 수 대씩 생산되고 있다.
연간 수십만 대 차량을 생산하는 일반 자동차 공장과 비교하면 생산 규모는 작지만 웨이모가 보유한 로보택시 1,500대는 주당 25만 건 이상 유료 승차를 제공하고 있어 1대당 하루 평균 24회 유료 운행을 수행하는 셈이다. 이는 하루 몇 차례밖에 운행하지 않는 자가용이나 트럭보다 훨씬 높은 운행 실적이다. 이 때문에 웨이모가 웨이모 원 용도로 로보택시 1만 대를 운용하게 될 경우 연간 매출은 20억 달러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다,
웨이모는 재규어 I-PACE 외에도 지커 RT, 현대차 아이코닉 5에도 웨이모 드라이버를 통합할 계획이다. 이들 차량은 재규어 I-PACE보다 훨씬 저렴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도입한 상호관세로 인해 RT 수입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고 한다.
한편 웨이모 자율주행 시스템은 테슬라의 시스템보다 정밀하고 고가 센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 차량과 경쟁사 자율주행차를 비교하며 테슬라보다 훨씬 비싸다고 비판한 바 있다. 실제로 웨이모 자율주행차는 레이더 센서, 라이다, 카메라, 소나 등을 탑재하는 반면 테슬라 자율주행 시스템은 주로 카메라만으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