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있는 곳은 지구 위이며 지구는 고속으로 자전고 공전을 하며 태양계도 우주 공간을 계속 움직이고 있다. 우리는 광활한 우주 어디에 있을까.
엄밀하게 말해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생각하는 건 어렵지만 절대적 위치라는 개념은 어디까지나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며 실제 위치는 상대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만일 우주에서 별이나 블랙홀 등 모든 존재가 사라져 버린다면 그 이후에는 빈 공간만 남는다. 주위에 아무 것도 없는 공간에서 모든 게 균일하게 되면 특정 위치라는 건 의미가 없어진다. 다시 말해 다른 무언가의 관계에서만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며 상하나 좌우라는 개념도 상대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인간이 밖으로 나와 주위를 둘러보면 세계는 평평하고 상하좌우 3차원 이동이 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이 시점은 물리학에서 기준계라고 불리는 것으로 적얻 본인 시점에서라면 전혀 문제가 없다. 하지만 사실 세계는 평평하지 않다. 지구는 구형이며 인간으로부터 5km 앞 수평선까지밖에 볼 수 없다.
자신으로부터 보고 아래 방향에 살고 있는 사람은 반대로 이쪽을 아래라고 인식한다. 아래는 중력에 의한 영향을 받는 개념이며 참조 프레임 착각이라고 한다. 또 사람들은 북쪽이 위를 향한 지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쩐지 북쪽이 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더 멀리서 지구를 보고 있는 존재는 이를 반대로 파악할지도 모른다.
지구는 실제로는 평평하지 않고 구형이라는 걸 인정해도 끝이 아니다. 지구는 항상 자전하고 태양을 공전하고 있어 한 곳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전과 공전이 정연한 운동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지 모르지만 실제로는 생각보다 복잡한 움직임을 하고 있다. 지구 공전 궤도는 진원이 아니라 타원을 그리고 있으며 1년 중에도 태양에 가까울 때나 먼 때가 있어 이동하는 속도도 변화하고 있다.
더구나 타원 궤도도 10만년 주기로 어긋나 있는 데다 공전 궤도도 조금씩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긴 기간을 보면 어긋난 공전 궤도가 태양 주위를 빙빙 돌리는 형태다. 이에 지구 위성인 달 중력이 영향을 미친다.
달은 꽤 거대하고 지구를 당기는 정도 중력을 갖고 있다. 지구와 달은 공통 중심을 주회하고 있지만 이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4,700km 떨어진 장소에 있어 지구는 그만큼 흔들리는 궤도를 그리고 있다. 이 때문에 공전 궤도는 달 중력에 의해 조금 흔들리고 있다.
덧붙여 태양계 평면이라고 되는 건 지구가 주회하는 평면으로 정의되고 있지만 사실 각 행성은 미묘하게 어긋난 평면을 돌고 있다. 또 태양계조차 부동이 아니다. 태양계는 은하계에 속하고 있어 은하계 중심을 주회하고 있다.
태양계는 은하계를 2억 3,000만 년 주기로 주회하고 있지만 태양계 평면은 은하계 질량 대부분이 존재하는 은하면과 일치하지 않고 60도 기울인 상태라고 한다. 은하계 중심에서 보면 태양계 행성은 나선을 그리면서 주회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 은하게를 둘러싼 은하원반 질량도 태양계 궤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태양계는 은하면에 대해 올라거거나 내려가면서 주회하고 있다. 태양계가 1회 상하 운동을 하는 데에는 3,000만 년 가량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 너무 길기 때문에 완전히 맵핑되지 않았다고 한다.
상대적인 위치를 다시 확인하면 지구는 달과의 중력으로 복잡한 궤도를 그리면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어 태양계는 평면이 은하면에 대해 60도 기울인 채 은하원반 영향을 받아 상하이면서 은하계를 공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은하계에 대해 어느 쪽이 아래라고 생각하는 건 참조 프레임 문제로 무의미하다는 것.
은하계는 합계로 10만 개 은하를 포함한 초은하단이라는 한쪽 구석에 있다. 초은하단은 은하 필라멘트라고 불리는 우주 최대 구조로 이뤄져 있다. 여기까지 오면 더 이상 지구 위에 살고 있는 인간 시점이 상대적인 것에 지나지 않다는 걸 실감할 수 있다. 다시 지구 위에 사는 인간 관점으로 돌아간다. 우주 규모를 생각하면 머리가 망가질지도 모르지만 사실 인간에게 이런 사실은 큰 문제가 아니다. 인간이 지구상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는 건 변하지 않고 자신이 작은 우주 중심에 있다고 생각하는 걸 방해하는 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