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에서 스마트폰과 PC, 반도체와 같은 전자기기를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일률적으로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한 뒤 국가·지역별로 세율을 추가로 올리는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이후 트럼프 정부는 상호관세에 보복 조치를 취하지 않은 국가에 대해 국가·지역별 세율 추가분을 90일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인상했기 때문에 미국은 중국에 대한 관세를 145%까지 인상했다.
하지만 기술 업계 많은 기업이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상호관세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다양한 추측이 오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후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할 수 있다고 강조했지만 전문가로부터는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런 가운데 4월 11일 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제품 카테고리 리스트를 공개했다. 이 리스트에는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반도체와 같은 전자기기가 포함된다. 이들은 모두 중국 제품에 대한 125% 관세와 전 세계 공통 기준선 관세가 면제된다. 다만 중국에 부과되는 20% 관세는 기존대로 계속 적용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이폰 16 프로 256GB 모델의 경우 부품비·조립비·테스트 비용으로 580달러 정도 비용이 든다. 여기에 중국에 대한 20% 관세를 부과하면 비용은 696달러다. 하지만 전자기기에 145% 관세가 부과될 경우 비용은 1421달러가 된다.
한편 전자기기가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것에 대해 한 애널리스트는 기술 투자자에게 꿈같은 시나리오라고 표현했다. 애플이나 엔비디아 같은 기술 대기업들이 이 소식에 기뻐하고 있을 건 분명하다. 차기 아이폰에 대한 대폭적인 가격 인상을 피할 수 있는 미국 소비자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업계는 더 타깃을 좁힌 관세나 기타 규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에선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에 관한 국가 안보 관련 조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