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크푸드 등 고지방 식사를 계속 하면 장내 세균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과 알츠하이머병, 우울증, 불안 증상이 악화되는 걸 알 수 있다. 새로운 연구에선 쥐가 고지방 식이를 계속 섭취하면 칼로리 섭취량을 조절하는 뇌 기능이 파괴되어 버리는 것으로 판명됐다.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 연구팀은 쥐를 1일, 3일, 5일, 14일에 걸쳐 고지방식을 계속하는 실험군과 표준 식사를 취하는 대조군에 할당, 쥐 음식 섭취량과 체중을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뇌 신경회로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실험 결과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교세포 일종인 성상교세포(astrocyte)가 뇌가 칼로리 섭취량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걸 나타냈다. 성상교세포는 고지방, 고칼로리 식품 섭취에 반응해 위 작용을 제어하는 화학물질을 방출해 음식 섭취량을 조절하고 있었던 것. 연구팀이 성상교세포 작용을 저해하게 하자 칼로리 섭취량 조절 능력이 상실된 것으로 보고됐다.
또 쥐에 있어 성상교세포 작용은 고지방 식사를 3∼5일간 계속 먹었을 때 최대가 됐지만 10∼14일에 걸쳐 고지방식을 계속 섭취하면 성상교세포가 반응하지 않게 되어 버리는 걸 확인했다.
연구팀은 칼로리 섭취는 성상교세포에 의해 단기적으로 제어되고 있는 것 같다면서 고지방, 고칼로리 식사에 3∼5일 단기간 노출될 때 성상교세포에 가장 큰 영향이 오고 이를 통제하기 이한 정상 신호 전달 경로를 트리거하는 걸 발견했다고 밝혔다. 또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을 섭취하기 시작한지 10∼14일 경과 무렵에는 성상교세포가 반응하지 않게 되어 뇌 칼로리 섭취량 조절 능력이 상실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선 성상교세포가 칼로리 섭취량 조절 능력과 관련되어 있는 걸 알았지만 과식 메커니즘과 정확한 상호 작용에 대해선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성상교세포 활동과 신호 전달 메커니즘 상실이 과식 원인인지 아니면 과식에 반응해 이런 현사잉 일어나고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연구는 어디까지나 쥐를 대상으로 해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같은 게 인간에게 적용되는지 확인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비만은 2형 당뇨병이나 심혈관 질환, 특정 암 등 위험을 높이는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연구자는 과식과 관련된 복잡한 뇌 메커니즘을 해명하는 게 비만을 줄이는 방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잃어버린 뇌 칼로리 섭취량 조절 능력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며 이에 대한 개입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고 밝히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