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자연과 정신건강 개선 연구 속에 숨겨진 함정

자연과 접촉하는 게 정신 건강을 개선해준다는 주장은 수많은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지만 지난 10년간 주요 연구에 숨어 있던 바이어스로부터 자연이 정신 건강을 개선한다는 건 보편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떠올랐다.

미국 연구팀은 2010-2020년에 걸쳐 발표된 자연과 정신 건강 관련 연구에 대해 다양한 단어로 학술 문헌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해 모두 174건 검토된 연구를 발견했다. 이들 연구를 분석한 결과 자연과 정신 건강에 대한 연구에 숨겨진 바이어스가 밝혀졌다는 것.

연구팀이 지적하는 바이어스란 자연과 정신 건강에 관한 연구 대부분이 부유한 국가에서 실시되고 중저소득 국가 사람은 거의 조사 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번에 수집한 연구 중 실제로 97%가 세계은행 분류 1인당 국민소득 1만 2,235달러가 넘는 고소득국가이며 3,996달러가 넘는 상위 중소득국에서 진행한 연구 비율은 2.9%, 1,006달러 이상인 하위 중소득국은 1.1%에 불과하다고 한다. 하위 중소득국에서 실시된 자연과 정신 건강 연구는 2건이었고 1건은 인도, 다른 1건은 이란이었다.

세계은행 분류에선 지수가 산출된 217개국과 지역 중 고소득국가에 포함되어 있는 건 80개국, 상위 중소득국가 55개국, 하위 중소득국가 55개국, 저소득국가 27개국이다. 고소득 국가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에서 보면 큰 건 아니지만 자연과 정신 건강에 관한 연구 대부분은 고소득 국가에서만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런 연구에는 인류 큰 비율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뭐가 보편적이고 뭐가 특수한지 확실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이런 차이는 연구 결과가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인류 행복을 높이는데 장애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연구가 진행된 고소득 국가 대부분은 구미에 있으며 이들을 빼면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이스라엘, 남아프리카 등 구미 가치관이나 라이프스타일이 침투한 국가가 많았다. 또 중국 같은 곳에서 이뤄진 연구는 자연에 둘러싸인 농촌이 아니라 자연이 적은 도시에서 이뤄지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또 피험자 인종 통계를 보고한 연구는 전체 62%에 불과하며 피험자 인종을 알고 있는 연구에선 전국 통계보다 백인 비율이 많았다고 한다.

최근에는 심리학 연구에서 연구자 대부분은 백인이나 부유하고 교육 수준이 높고 안정된 민주주의 국가에 사는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는 게 문제시되고 있다. 이 집단은 심리학자가 가장 접근하기 쉬운 사람인 동시에 원래 개인 마음에 초점을 맞추는 심리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구미적 정신과 합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서양 중심으로 이뤄진 심리학 연구 결과는 전 세계 전체 인구에 대한 보편적 적용을 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비교적 크게 글로벌화된 도시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논문을 읽으면 서양에서 이뤄진 연구 공식을 재현하고 있어 문화적 뉘앙스나 다양성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연구 피험자에 있어 인종이나 문화적 편향은 문화마다 다른 녹지와의 관계성을 무시할 우려가 있다. 같은 미국인이라도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나 흑인 커뮤니티에선 백인 커뮤니티와 다른 녹지와의 관계를 갖고 있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과거 연구에선 흑인계 미국인은 자연과 접촉하는 레크리에이션에 종사할 가능성이 낮았으며 이 특징은 오랜 세월에 걸친 차별 등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원주민도 구미적 가치관과는 완전히 다른 자연관을 갖고 있지만 대다수 연구에선 원주민 피험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캐나다와 뉴질랜드에서 이뤄진 2개 연구에서 10% 미만 피험자가 있었다. 예를 들어 남미 안데스 산맥 주변 원주민족은 자연과 강에 법적인 인격을 인정하는 자연권을 옹호하고 있으며 서양과는 다른 장연을 파악하는 방법을 취한다. 또 남아메리카 원주민이 사용하는 케추아어에선 나와 우리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어 이는 정신 질환에 대한 서양적 평가 도구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걸 보여준다고 한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피험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사람에게도 도달하고 피험자 민족성을 기록하며 정신 건강과 자연과의 연결을 측정하기 위한 문화적 배려 툴이나 디자인을 만드는 것 등을 들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용환 기자

대기업을 다니다 기술에 눈을 떠 글쟁이로 전향한 빵덕후. 새로운 기술과 스타트업을 만나는 즐거움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뉴스레터 구독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