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태양광을 우주 공간에서 막는다? 스페이스 버블

전 세계 각국 정부나 연구자는 파멸적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는 이미 인류의 제한 목표를 넘을 만큼 진행되고 있다는 보고가 나오는 등 지금 정도 노력으로 기후 변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따라서 MIT 연구자는 지구가 아닌 우주 공간으로 눈을 돌려 우주 공간에 전개된 반사막으로 태양광을 차단하는 스페이스 버블(Space Bubbles) 프로젝트를 제창하고 있다.

최근 이산화찬소나 메탄 등 온실가스가 인위적으로 배출되면서 지질학적으로 봐도 전례가 없는 속도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 지구상에선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지만 이미 이런 노력은 너무 느릴 수 있다.

여기에서 눈길을 끄는 게 온실가스 삭감이라는 완화책이 아니라 지구 기후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지오엔지니어링(Geo-Engineering)이다. 하지만 탄소 격리나 에어로졸 방출 등 지구공학적 해결책이 지구상에서 실시되는 경우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우주 공간에 실드를 전개해 태양광을 줄이는 우주 기반 솔루션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 연구팀 시산에 따르면 지구에 쏟아지는 햇빛 등 태양 복사를 1.8% 줄일 수 있다면 지구 온난화를 완전히 역전시키는 게 가능하다고 한다.

연구팀은 우주 공간에서 태양 복사를 편향시키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박막 구조는 버블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 영하 50도 진공 챔버 내에서 두께 500nm 안정적 박막 구형 쉘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한다.

스페이스 버블은 우주 공간에서 제조해 지구와 태양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라그랑주점에 직접 전개된다. 스페이스 버블 여러 개가 연결되면 크기는 브라질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스페이스 버블 재질이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선 불투명하며 연구팀은 추가 자금을 얻어 미래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태양광 실드 실현 가능성 조사를 진행하는 건 앞으로 몇 년간 지구공학적 접근이 필요할 경우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용융 실리콘 같은 균질한 물질로 이뤄지는 기포를 이용해 태양 복사를 차단하는 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또 거대한 천이나 우산을 접어 지구에서 운반하는 방법과 비교하면 현지에서 기포를 부풀리는 게 비용도 최적화할 수 있는데 예상 외 문제가 발생해도 철수가 간단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전문가는 회의적이라며 재료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품기도 한다. 스페이스 버블은 태양 방사선 압력이나 미소 운석 충돌이라는 장애를 견뎌야 하며 장기적으로 태양광을 계속 차단하는 것에 따른 영향도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또 스페이스 버블 구상이 있더라도 여전히 온실가스가 기후와 생태계에 계속 악영향을 미치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화려한 프로젝트에 눈을 빼앗기지 말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근본적인 과제에 계속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태양광을 차단해 지구 온난화를 막는다는 발상 자체는 예전부터 있었다. 1980년대 후반 라그랑주점 부근에 대형 우산을 전개하는 게 제안되기도 했다. 그 밖에 성층권에 이산화황을 뿌리거나 대기 중에 탄산칼슘 분말을 살포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원영 기자

컴퓨터 전문 월간지인 편집장을 지내고 가격비교쇼핑몰 다나와를 거치며 인터넷 비즈니스 기획 관련 업무를 두루 섭렵했다. 현재는 디지털 IT에 아날로그 감성을 접목해 수작업으로 마우스 패드를 제작 · 판매하는 상상공작소(www.glasspad.co.kr)를 직접 운영하고 있다. 동시에 IT와 기술의 새로운 만남을 즐기는 마음으로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뉴스레터 구독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