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전 세계에 유행하면서 도시 봉괘 등 대책이 강구됐고 이에 따라 많은 이들이 정신적으로 불안정하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그런데 많은 성인이 정신 건강 부진을 호소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은 오히려 이 기간 중 정신 건강이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코로나19와 이에 따른 도시 봉쇄 등에 대한 대책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커 사람들은 가까운 친구와 접촉이나 장거리 이동이 제한되고 음식점 등 업종은 큰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영향을 받는 건 성인 뿐 아니라 학생도 수업을 원격으로 전환하거나 친구와 만날 수 없게 되는 등 많은 변화에 노출되어 있다.
미국 브리검영대학과 샌디에이고주립대학, 미국가족연구협회(Institute for Family Studies) 연구팀은 코로나19 기간 중 청소년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조사하기 위해 미국에 거주하는 청소년 1,52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팀은 2020년 5∼7월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가족과 보내는 시간, 수면 습관, 기술 이용, 인종 차별에 대한 항의 활동 관련 견해 등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이 중 정신 건강은 인생에 대한 불만, 불행도, 우울증, 고독 4가지 척도로 평가했다.
이번 조사 결과를 2018년 이뤄진 청소년 정신 건강 관련 조사와 비교한 결과 청소년 정신 건강은 코로나19 기간 중 악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일부 측면에선 개선된 것으로 판명됐다. 정신 건강에 관한 2018년 조사 결과와 코로나19 기간 중 학교에 있던 기간, 방학 기간 조사 결과를 보면 외로움과 우울증은 2018년보다 코로나19 기간 중 크게 감소했다. 인생에 대한 불만, 불행도의 경우에는 2018년 코로나19 기간 중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지난 5∼6년간 청소년 정신 건강이 급속히 악화됐기 때문에 코로나19 역시 청소년 정신 건강을 악화시키는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었다고 한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정신 건강이 상대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인 것에 대해 연구팀은 독감에 의한 생활 습관 변화가 이유가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첫 번째 이유로 연구팀이 드는 건 수면 습관 변화다. 2018년 조사에선 보통 7시간 이상 자고 있다고 답한 청소년은 전체 중 55%였다. 하지만 코로나19 기간 중 학교에 가던 기간 조사에선 무려 84%가 7시간 이상 자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런 이유를 들어 코로나19 기간 중 학교가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했기 때문에 아침 통학 시간만큼 늦게까지 잘 수 있다고 말한다.
또 유행성 기간 중 수많은 노동자가 재택 근무를 하면서 청소년이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늘어난 점도 코로나19에 의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했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 중 56%는 코로나19 중 이전보다 부모와 대화가 늘었다고 답했고 가족이 함께 저녁 식사를 하는 빈도가 늘었다고 응답한 비율도 54%, 형제와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는 답도 46%로 나타났다.
아마도 가장 인상적인 결과는 코로나19 기간 중 가족과 거리가 좁혀졌다고 응답한 청소년 비율이 68%라는 것. 유행성 기간 중 가족간 거리가 좁혀졌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정신 건강 침체를 경험한 비율이 15%에 그쳤던 반면 가족간 거리가 좁혀지지 않ᄋᆞᆻ다고 답한 청소년 중에선 27%만 정신 건강 감소를 보고했다.
연구팀은 청소년은 부모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일반적 인식과 확실히 친구 관계가 중요한 건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이들은 부모에게 친밀감을 원한다는 사실이 판명된 건 어떤 의미에선 코로나19의 몇 안 되는 혜택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정신 건강 이외 결과로 코로나19 중 청소년 기술 사용 증가를 들 수 있다. 이 기간 중 친구를 만날 수 없기 때문에 소셜미디어 이용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었지만 2018년보다 오히려 소셜미디어 이용은 감소하고 있었다고 한다.
문자 메시지나 소셜미디어, 게임에 소비하는 시간이 줄어든 반면 10대 친구와 화상 채팅, 동영상이나 영화 시청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고 한다. 연구팀은 유행성 기간 중 부정적 소셜미디어 이용이 줄어 사이버폭력 발생률도 저하된 게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또 이번 조사에선 청소년 중 53%가 코로나19 경험으로 자신이 강하고 회복력이 있는 인간이 됐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19라는 특수 상황을 경험한 청소년이 자신의 성장을 느낄 걸 보여준다.
물론 청소년도 코로나19 영향을 느끼고 있던 것도 보고되고 있다. 전체 중 29%가 코로나19로 진단 받은 사람을 알고 있다고 밝혔고 27%는 이 기간 중 부모가 실직했다고 답했다. 매일 식사와 가정 자금 사정에 대해 걱정하는 10대도 적지 않았다. 이런 불안을 안은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신 건강 침체가 심했다. 코로나19에 의해 전체적으론 청소년 정신 건강이 개선 추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이 높다고 밝히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