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선 인위적인 온실가스 배출을 삭감하는 것 외에도 대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게 필요하며 최근에는 생물이 가진 탄소를 저장하는 능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생물에 의한 탄소 저장에 있어선 삼림이 주목받기 쉽지만 새롭게 발표된 논문에선 지구상에서 가장 큰 생물인 고래의 탄소 저장 능력이 기후변화 대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됐다.
알래스카대학 연구팀은 흰수염고래(Balaenoptera musculus)와 참고래(Balaenoptera physalus)는 크기와 수명에 따라 방대한 양의 먹이를 섭취해 대량 배설물을 내보내 작은 동물보다 효과적으로 탄소를 저장한다며 탄소 순환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들 고래 외에 수염고래나 향유고래를 포함한 대형 고래 수명은 수십 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고래를 거대한 탄소 덩어리로 보면 고래가 해양과 대기 사이 탄소 순환과 탄소 격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흰수염고래는 하루에 체중 4%에 해당하는 3.6톤에 이르는 크릴과 플랑크톤을 먹고 있으며 그 결과로 생기는 배설물에는 철이나 질소 등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플랑크톤 먹이가 된다. 해면 부근에 서식하는 플랑크톤은 몸에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크릴리 더 탄소를 축적하고 펭귄, 해조, 물개, 물고기, 고래 등 다른 동물로 더 영양과 탄소가 순환해 나가는 것이다.
과거 연구에선 고래가 매일 많은 크릴을 먹고 있음에도 고래 서식수가 많은 해역에선 크릴 서식 밀도도 높은 크릴의 역설이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고래 생태계 하층에 있어 중요한 식량 공급원으로 기능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크릴 개체수를 늘리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한다. 또 크릴은 탄소를 바다 깊은 층까지 전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고 한다. 포경 산업이 시작된 이후 대형 고래 개체수는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으며 해양에서 탄소 순환과 제거 역할도 담당할 수 없게 되어 왔다. 한때 남극해에 서식하고 있던 향유고래는 탄소 200만 톤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됐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그 양이 20만 톤까지 줄었다고 한다. 대형 고래 시체는 바다 바닥에 가라앉아 해저에 사는 많은 동물 먹이가 되어 여기에서도 대규모 탄소 순환을 일으킨다. 또 대형 고래 대부분은 영양이 풍부한 미끼와 영양 부족 번식지를 왕래하고 있어 영양 부족 해역에 영양을 옮기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수염고래가 지구상에서 가장 긴 이동거리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면 고래 이동은 잠재적으로 해양 분지 스케일에서의 영양소 동태와 탄소 순환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고 대형 고래 감소는 이 점에서도 타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포경 산업이 시작되기 이전 흰수염고래는 남반구에서 140킬로톤 탄소를 수송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0.51킬로톤 정도라고 한다. 최근에는 고래 보호 활동이 열매를 맺고 있으며 남대서양 서부에선 흑등고래 개체군이 놀라울 정도로 회복하고 있다는 것도 보고됐다.
연구팀은 고래를 탄소흡수원으로 평가해 개체군을 보호하는 건 바다에 비료를 줘서 탄소흡수량을 늘리거나 바다 깊숙이 탄소를 주입하는 지구공학적 솔루션보다 위험이 낮고 지속성과 효과 면에서도 기대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고래 개체수 회복은 해양 탄소원을 장기적이고 자율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