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美中 기술 냉전의 시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통령령을 내리면서 구글과 인텔, 퀄컴,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주요 기술 기업이 일제히 중국 화웨이에 포화를 쏟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격화 양상인 미중 무역 전쟁과 맞물려 기술 냉전(Tech Cold War)이라고도 불리는 미중 갈등이 일어나고 있는 것. 이에 대해 대만을 거점으로 활동하며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근무하기도 한 애널리스트 벤 톰슨이 미중 모두의 시선에서 이를 분석해 눈길을 끈다.

미국과 중국의 기술 냉전으로 이어진 첫 번째 움직임은 화웨이 같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인 ZTE를 미국이 추방한 것에서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기술 냉정에서 미국에 일정한 장점이 있다고 분석한다. 예를 들어 아이폰 대부분은 중국산이지만 아이폰을 생산해 중국이 얻는 이익은 아이폰이 만들어내는 전체 이익 중 3.6%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는 중국이 생산하는 첨단 장비의 실질적 가치는 미국, 일본, 우리나라, 대만 기업이 맡고 있고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리지만 미국 입장에선 대체 가능한 생산지 중 하나일 뿐이라는 의미다.

애플로부터 아이폰 생산 하청을 받고 있는 대만 폭스콘의 경우 지난 4월 중국 뿐 아니라 인도에도 생산기지를 만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또 중국은 첨단 기술 그 중에서도 첨단장비의 심장부 격인 프로세서 등 제조나 설계에 있어선 아직도 미국에 크게 뒤쳐져 있다. 소프트웨어 역시 미국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화웨이가 자체 운영체제를 개발하는 등 중국도 추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만 미국을 따라 잡기에는 아직도 몇 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물론 중국에도 대항 수단이 잇다. 그 중 하나가 물자 비축이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화웨이는 적어도 3개월 분량 생산을 계속할 부품을 확보하고 있다고 한다. 기술 냉전이 장기화하면 물론 충분한 비축 물량이라고 할 수는 없다.

중국 최대 카드 중 하나로는 희토류를 꼽는다. 전자부품 제조에 필수적인 희토류는 전 세계 공급량 중 무려 90% 이상을 중국이 차지한다. 중국은 희토류가 기술 냉정을 좌우할 전략 물자라는 걸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 지난 5월 20일 시진핑 주석이 희토류 생산 기지를 방문한 건 간접적 증거라고 할 수 있다.

톰슨은 미국이나 중국 양측에 아이폰은 싸움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아이폰 대규모 생산지이자 여전히 큰 매출을 기대할 수 있는 시장이기 때문이다. 중국이 아이폰을 중국 시장에서 추방하면 애플을 비롯한 미국 기업은 큰 타격을 받게 된다. 반면 아이폰은 중국에서 수백만 명 규모 고용을 창출하고 있는 만큼 더 이상 실업자를 늘리고 싶지 않은 중국 지도자 입장에선 아이폰을 쉽사리 건들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

또 아이폰에 추가 관세가 얼마가 붙냐에 따라 상황이 크게 바뀔 가능성도 있다. 미국무역대표부 USTR은 지난 5월 13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발표한 바 있다. 빠르면 6월 하순 발동할 추가 관세는 지금까지 제외됐던 3,805개 품목에 대해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대상 품목 목록에는 아이폰도 포함되어 있다. 만일 이대로 추가 관세를 발동하면 아이폰 가격 상승은 불가피하다. 지금까지 아이폰을 사용해온 소비자는 아이폰 가격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그는 기술 냉전 관점에선 미국이 우세하다고 말한다. 앞서 언급했듯 첨단 장비 중 프로세서의 장점은 크게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을 우방으로 삼은 미국이 중국을 크게 앞서고 있다. 중국도 맹렬한 기세로 추격 중이지만 미국을 따라잡으려면 아직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또 기술 냉전은 검열과 개방성, 통제와 창조성, 중앙집권과 경쟁의 싸움이라고 말한다. 기업 경영자나 투자자 뿐 아니라 첨단 장비 관계자도 심각하게 생각해야 할 문제라는 것이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