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철야로 우울증 증상 완화된다?

철야나 수면 부족은 인지 기능을 저하시키며 건강 상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런데 의외로 철야를 해 우울증 증상을 개선하는 단면요법이라는 치료법이 이전부터 알려져 있으며 새로운 연구에선 철야가 기분을 개선하는 이유가 뇌 스캔에 의해 분명해졌다고 한다.

일부에선 건강 상태를 위협하는 문제지만 일부 우울증 환자는 철저하게 일시적 항우울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인 항우울제에 의한 치료에선 효과가 나오기까지 2주 이상 걸리는데 반해 단면요법은 1일 철야를 하면 곧바로 항우울 효과가 보인다는 게 특징적이며 약물 치료에 효과가 부족한 환자에 대해 이뤄지는 일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이 주도한 연구에선 우울증을 앓고 있는 피험자 30명과 정신 병력이 없는 피험자 38명을 철야시켜 설문 조사를 실시, 철야하지 않은 정신 병력이 없는 피험자 16명도 포함해 뇌 스캔을 실시했다. 철야를 한 피험자는 독서나 컴퓨터 게임, TV 시청 등으로 아침까지 시간을 보내고 카페인 섭취나 운동 등은 실시하지 않았다고 한다.

실험 결과 우울증이 없는 사람 대부분은 수면 부족에 의해 불쾌해졌지만 우울증 환자 30명 중 13명은 철야 이후 기분이 향상된 것으로 판명됐다. 일부 우울증 환자에게 확실히 철야로 증상이 개선된 게 확인됐다.

피험자 뇌를 fMRI로 조사한 결과 정동 반응 처리와 기억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편도체, 정동 반응이나 인지 작업 처리에 관여하는 전대상 피질 사이 연결성이 철야 이후 기분이 개선됐다고 응답자에게서 강화된 것으로 판명됐다. 이 두 영역 사이 연결성은 피험자가 2일 경과해 철야 영향이 희미해진 뒤에도 상대적으로 강한 상태였다.

현대에는 몸 일상 리듬이 다양한 생리 현상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투약 시기를 일일 리듬에 맞춰 조절하는 시간 치료 등 분야도 주목받고 있다. 이런 시간 치료에 대한 연구에선 개일 리듬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이상하게 되어 있던 체내 조절 프로세스가 재설정될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철야에 의해 편도체와 전대상 피질 사이 접속성이 회복된 것도 개일 리듬이 리셋된 게 원인일지도 모른다고 한다.

물론 수면 시간 부족이 말년 치매와 기타 건강 위험을 높여 사회 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걸 알고 있는 이상 철야를 하는 게 우울증 환자에게 좋다고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철야에 의해 회복된 뇌 영역 사이 연결성을 맵핑하면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는 메커니즘 해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보도에 따르면 적어도 기분에 중요한 뇌 영역간 결합을 강화하는 게 가능하다면 뇌로부터 숙면 혜택을 빼앗지 않고 많은 이들 기분을 개선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