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헨리3세 금화가 전 세계에 8개만 있는 이유

2022년 1월 중순 아마추어 금속 탐지가에 의해 영국 남서부 농장에서 발견된 금화가 영국에서 열린 경매에서 54만 파운드라는 가격에 낙찰됐다. 이 금화는 헨리3세의 금화로 불리며 지금까지 8개 밖에 발견되지 않았다. 왜 헨리3세 금화는 이 정도만 발견됐을까.

13세기경 영국 경제는 은본위제였다. 하지만 유럽전체가 부유해지면서 13세기 시장에도 금이 유통되어 금화가 발행되게 됐다. 예를 들어 2016년 영국에서 발굴된 금화는 이슬람제국 디나르 금화를 모델로 11세기에서 12세기 주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탈리아 도시 국가인 제노바와 피렌체에서도 각각 독자 금화가 사용되고 있었다고 한다.

헨리3세가 금화를 발행한 건 1256년으로 금화 1장=은화 20장이라는 교환비가 정해져 있었다. 다시 말해 손님은 은화 20장 대신 새로운 금화 1장을 상인에게 지불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 비율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헨리3세 자신이 소유하는 은화 19.5장을 금화 1장으로 환금했다고 한다. 차액 0.5장분은 수수료로 처리됐다.

하지만 금화와 은화를 동시 운용하는 경우 이들 금화와 은화 교환율이 적절한지 여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만일 교환율이 시장 가격과 괴리가 생기면 실질 가치보다 높은 화폐가 유통 루트에서 쫓겨나 실질가치보다 낮은 화폐가 유통되는 그레셤 법칙(Gresham’s law)이 작동해버린다.

역사가 데이비드 카펜터는 자신의 논문에서 헨리3세가 정한 교환율이 적절했다고 주장했다. 헨리3세 당시 금화 1장 무게는 당시 유통되던 은화 2장과 같고 당시 귀금속 시세에선 금과 은 가치 비율이 10:1이었던 걸 감안하면 금화 1장=은화 20장이라는 비율은 타당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역사가 존 먼로는 영국 은화 순도가 92.5%였고 나머지는 비금속이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헨리3세가 정한 금화 1장=은화 20장이라는 교환율은 실제로는 금과 은 가치 비율을 9.25:1로 간주하게 된다. 다시 말해 당시 영국 상인에게 1kg 금화를 9.25kg 은화와 같은 가치로 사용하는 것으로 1kg 금화를 주괴로 해 은 10kg으로 교환하는 게 유익했다는 것이다.

헨리3세는 교환율 설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걸 깨달았고 금화를 발행한 6년 뒤인 1265년 금화 1장=은화 24장으로 수정했다. 하지만 이 무렵에는 이미 대부분 금화는 녹아 은으로 교환되어 버렸다고 생각된다. 헨리3세 금화가 거의 발견되지 않은 건 대부분 금화가 녹아버렸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