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시끄러운 환경에서 얘기 잘 못들으면 치매 위험↑”

카페테리아 등 사람이 많은 환경에선 주변 소음 때문에 상대가 말하는 내용이 들리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60세 이상 노인 8만여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시끄러운 환경에서 듣는 데 고생하는 사람은 치매 위험이 높다는 결과가 밝혀졌다.

나이가 들면 귀가 먼다는 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지만 난청은 렌싯이 대처 가능한 치매 주요 위험 요인 12선에 꼽을 만큼 치매와 관련이 깊다. 렌싯에 따르면 주요 위험 12선 중에서도 난청은 가장 치매에 대한 영향이 강하고 중년에 난청을 앓은 사람이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치매가 될 확률이 5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옥스퍼드대학 연구팀은 영양, 생활양식, 약물요법 등 다양한 환경 노출과 유전적 소질이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간에 걸쳐 추적하는 UK바이오뱅크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조사를 시작할 때 치매가 없고 청력에도 문제가 없던 60세 이상 노인 8만 2,03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UK바이오뱅크 조사 중에는 잡음 속에서 대화를 청취하는 연설 테스트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결과와 치매 관계를 조사한 결과 나쁜 결과가 나온 사람은 치매 발병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가장 나쁜 결과와 다른 일반 조사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온 차이를 비교하면 10년 후 치매 발병률은 2배가 된다고 한다.

연구팀은 미검출 치매가 난청을 낳는다는 설을 없애기 위해 분석을 실시했지만 이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는 얻지 못했다고 한다. 또 이번 연구에선 난청과 관련이 있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사회적 고립과 우울증 등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했지만 연구팀에 따르면 난청이 사회적 고립과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었다고 밝히고 있다.

호주나 대만 연구기관도 각각 난청이 치매 위험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지만 이런 연구는 난청에 대해 자진 신고 평가 기준을 마련했다는 게 이번 연구와 다르다. UK바이오뱅크 데이터베이스에서 잡음 속 연설에서 나쁜 결과에 해당하는 항목(Insufficient) 중 53.4%, 나쁘다는 결과에 해당하는 푸어(Poor)에 속하는 항목 중 43.8%가 난청이라는 자각이 없었다고 답했다. 난청에 걸린 자각이 거의 크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렌싯 연구에선 난청은 대처 가능한 위험이기 때문에 보청기로 치매 위험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기존 연구에선 얻어진 결과는 일관성이 없다고 한다. 연구팀은 이번 분석에선 보청기가 치매 위험을 낮추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샘플 크기가 작고 보청기 사용자는 심한 난청을 앓고 있으며 다른 치료도 받고 있는 가능성이 높은 점을 감안하면 현재 조사 방법은 산정 곤란이라고 밝히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