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해 야채 중심 식생활을 하려 해도 아무래도 고기가 먹고 싶은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고기가 싫어서 의식하지 않아도 채식이 되어 버린 사람도 있다. 이런 채식주의자 5,000명과 비채식주의자 33만 면 게놈을 해석한 연구에 따라 채식주의 관련 유전자가 확인됐다.
기후 변화, 동물 복지, 건강 지향 등 채식주의자는 다양한 이유로 야채와 과일 중심 식생활을 선택한다. 한편 자칭 채식 대부분에 해당하는 48∼64%는 실제로는 생선이나 고기를 먹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채식주의를 관철할지 어떨지는 식사 취향 뿐 아니라 영양에 대한 육체 반응이 관련될 수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페인버그 연구팀은 영국 UK바이오뱅크에 등록된 유전자 데이터와 식생활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먼저 참가자가 채식인지 아닌지를 조사하기 위해 채식이나 비건 식생활을 실천하고 있는지 여부, 지난 1년간 어패류, 가공육,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을 먹었는지 묻는 2가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육류를 먹지 않은 엄격한 채식으로 5,324명이 남았다.
연구팀에 따르면 채식인은 여성이 많았고 연령은 젊고 BMI값이 낮고 직업 상황 등에서 산출되는 타운센드 박탈 지수(Townsend Deprivation Index)가 높다. 그러니까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다는 4가지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어 엄격한 채식주의자와 육류를 먹는 대조군 참가자 32만 9,455명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18번 염색체에 채식주의와 관련한 SNP 그러니까 유전자 변이 rs72884519가 발견됐다. rs72884519는 TMEM241, RIOK3, NPC1, RMC1 4가지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 더구나 다른 분석에서도 분명 채식주의와 관계하고 있는 유전자로 RIOK3, NPC1, RMC1 3개와 채식주의와 관계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유전자 31개 모두 34개를 발견했다.
NPC1과 RMC1 같은 유전자는 지질대사와 뇌 기능과 관련한 유전자다. 그 중에서도 NPC1은 체내에서의 콜레스테롤 수송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NPC1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지질 축적이나 중추신경장애가 일어나는 니만-피크병 C형이 발병해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부터 연구팀은 지질 대사와 뇌 영향 차이가 야채 중심 식생활을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한 건 아닐까 생각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는 어디까지나 추정이지만 고기는 일부 사람에게 있어 중요한 지질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유전적으로 채식주의를 좋아하는 사람은 이 성분을 체내에서 합성할 수 있지 못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축산업은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고기를 식물성 대체육으로 전환하는 게 기후변화 대책에 효과적이지만 고기와 대체육은 영양 면에서 큰 차이가 지적되고 있으며 완전히 고기를 대체하는 대체육은 아직 보급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앞으로 연구를 통해 채식과 비채식간 생리적 차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면 개인에 맞는 최적 식사와 더 나은 고기 대체품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