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은 대량 온실가스를 배출해 지구 온난화를 멈추려면 고기나 유제품을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해초를 소에게 먹이고 트림을 줄이자는 연구를 하기도 한다. 새로 독일과 뉴질랜드 연구팀이 소 변기 훈련에 성공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소는 하루 수십 리터씩 소변을 배출하고 있으며 이 소변에 포함된 다량 질소가 다양한 환경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방목되는 소가 방뇨를 하면 토양에서 분해되고 질산염이나 질소산화물이 생성된다. 질산염은 호수와 강에 침출해 과도한 조류 증식과 물고기에 악영향을 일으킬 뿐 아니라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300배나 강력한 온실가스로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킨다. 또 실내에서 사육되는 소가 방뇨하면 질소가 축사 바닥 배설물 등과 혼합, 다른 오염 물질인 암모니아가 생성되어 버린다.
하지만 소가 배출하는 소변을 정리하고 처리할 수 있다면 질소가 유해 물질로 변화하는 걸 막는 게 가능하다. 따라서 독일과 뉴질랜드 연구팀은 소 화장실 훈련을 실시해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생각에 가축 화장실 훈련을 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먼저 연구팀은 대상이 된 송아지를 새장에 넣어 방뇨한 뒤 설탕을 정제할 때 발생하는 폐당밀 등을 보상해 케이지에서 방뇨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학습시켰다. 다음 케이지 외부 통로로 걸어 통로에서 방뇨하면 물을 분사해 케이지에서 방뇨하면 보상해 방뇨할 때까지 케이지까지 오도록 훈련시켰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16마리 중 11마리가 화장실 훈련에 성공해 케이지에서 방뇨하도록 훈육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 변기 훈련 방법을 최적화한 뒤 제한하면 8마리 중 7마리에 성공한 것. 화장실 훈련 기간은 15일이며 상당수는 20∼25회 방뇨 케이지에서 방뇨를 기억했다. 연구팀은 송아지는 인간 유아만큼 또는 이보다 빨리 화장실 위치를 학습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한 동물인지 과학자는 정해진 장소에서 방뇨하도록 송아지를 훈련할 수 있는 건 놀랄 일이 아니지만 지금까지 아무도 입증할 수 없었던 건 놀라운 일이라면서 중요한 문제는 이 성과를 확장할 수 있는지 여부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화장실용 케이지 소변 검출과 보상을 자동화 훈련에서 인간 개입을 줄이는 건 기술적이 문제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화장실용 케이지를 설치하는 적절한 위치와 수를 결정하려면 소가 얼마나 소변을 참을 수 있을까 하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야외에서 소를 방목하는 경우 어디에 케이지를 설치하는지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연구팀은 우리가 알고 있는 건 소 소변에서 유래한 질소가 수질 오염과 기후 변화 모두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런 영향을 소 변기 훈련에 의해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수집할 수 있는 소변량이 많을수록 배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축 수를 줄일 필요성과 우유, 버터, 치즈, 고기 능력에 대해 타협할 필요성이 줄어든다고 덧붙였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