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외로움이 당뇨병 발병 위험 2배로 높인다?

2형 당뇨병은 혈중 당도를 낮추는 호르몬과 인슐린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거나 작용하지 않게 되는 등으로 혈당치가 높아져 버리는 병. 말단 신경장애나 시력 저하 등 합병증을 일으킨다. 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은 평소 생활 습관이나 유전적 요인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기에 새롭게 외로움도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연구팀은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과 노르웨이 지역보건국 등 공동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데이터는 1984년부터 2019년까지 4회 실시된 인구 조사에 의한 23만 명 이상 건강 정보로 이뤄져 있다.

이 가운데 2번째 조사 데이터에서 선택된 2만 4,024명 중 적혈구에서 헤모글로빈이 당과 결합하고 있는 비율을 나타내는 HbA1c가 48mmol/mol을 넘어 2형 당뇨병으로 판단된 게 1,179명이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2형 당뇨병이라고 판단된 사람 중 남성 비율은 59%, 평균 연령은 48세, 결혼 비율은 73%였다. 또 인구 조사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전체 참가자 중 13%가 외로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고독감 수준이 높은 게 20년 뒤 2형 당뇨병을 앓을 위험이 높아지는 것과 강하게 관련되어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설문조사에서 외로움을 느끼는지 여부 질문에 강하게 느낀다고 응답한 참가자는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는 참가자보다 2형 당뇨병 발병 가능성이 2배 높았다고 한다.

외로움과 2형 당뇨병 발병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팀은 사회적 참여와 영향력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친구로부터 조언이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식사나 신체 활동, 스트레스 경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연결이 적은 경우에는 이런 긍정적 영향이 부족하고 결과적으로 외로운 사람은 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질 것이라고 연구팀은 추측하고 있다.

연구팀은 의료 종사자는 임상 진찰에서 외로움과 사회적 교류에 관한 것도 포함해 환자 우려에 대해 개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혀 2형 당뇨병에 관한 임상 가이드라인에 외로움에 대한 대처를 포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용환 기자

대기업을 다니다 기술에 눈을 떠 글쟁이로 전향한 빵덕후. 새로운 기술과 스타트업을 만나는 즐거움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뉴스레터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