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레시피

이상적인 도시의 조건

개인 소유물인 자동차가 공공 공간을 점령하고 있는 건 좋을 게 없다. 이런 이유로 도심에서 자동차를 배제하는 도시가 있다. 교통 체증이나 사고 같은 문제가 줄어드는 건 물론 이에 따라 인구도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한다.

1999년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인 폰테베드라(Pontevedra) 시장으로 취임한 미구엘 안소 페르난데스 로레스(Miguel Anxo Fernández Lores)는 자동차를 소유하는 게 공공 공간을 점령할 권리를 의미하는 건 아니라는 단순한 철학을 갖고 있었다. 그가 취임할 당시만 해도 1만 4,000대에 달하는 자동차가 거리를 오가고 있었지만 이 탓에 어린이나 노인이 길을 이용하는 등 문제가 생겼다. 그는 시장 당선 1개월도 되지 않아 자갈도로와 중세부터 이어진 중앙로를 비롯한 30만㎡를 보행자 우선 지역으로 설정했다.

자동차가 넘쳐나면서 역사적인 중심지가 죽었고 도시는 퇴색했다는 게 이유다. 또 오염과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났던 만큼 불경기까지 겹쳐 사람들이 도시를 떠나게 됐다는 것. 이런 이유 때문에 교통 상황을 먼저 개선하기 위해 자동차를 없애고 주민들에게 공공 공간을 되돌려주겠다고 결정한 것이다.

먼저 도시에서 자동차가 달리는 걸 금지하고 지상에 있는 주차 공간을 없앴다. 주차 위치를 찾으려는 자동차가 교통 체증을 일으키는 큰 원인이 됐기 때문. 중앙 주차장을 모두 없애는 대신 지하와 도시 주변 지역에 주차 공간을 마련했다. 이 중 1,686개는 모두 무료 공간으로 꾸몄다. 또 원형 교차로를 채택하고 신호등을 없앴다. 차 없는 지역은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도 30km/h로 속도를 제한했다.

그 결과 1996∼2006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30명이었지만 이후 10년 사망자 수는 3명으로 대폭 줄었고 심지어 2009년부터는 사망자가 제로가 됐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70% 줄었고 이 지역 내에 위치한 다른 도시는 인구가 감소했지만 폰테베드라는 되려 1만 2,000명이 늘었다. 또 큰 쇼핑센터의 건축 허가를 보류한 덕에 스페인 경제 위기로 중소기업이 무너져 가는 상황에서도 폰테베드라에 있는 중소기업은 버틸 수 있었다고 한다.

물론 이 같은 중심지에서 자동차가 달리지 못하게 하는 계획이 지역 정체를 낳는다는 비판도 일어난다. 또 주차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비판도 있다. 주차 공간에서 중심지까지 대중교통이 없어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중심가는 걸어서 25분 가량이면 충분하다.

여기 또 다른 도시가 있다. 지난해 건축가 스테파노 보에리(Stefano Boeri)가 디자인한 류저우 포레스트 시티(Liuzhou Forest City)는 실제 류저우 시 지자체와 협력해 도시를 건설 중이라고 한다.

이 도시는 사무실과 가정, 호텔, 병원, 학교 등 도시 건물 전체가 식물과 나무로 덮여 있다. 류저우 포레스트 시티는 류저우 북쪽에 위치한 강 인근에 만들어지며 기차로 연결할 예정이다. 거리에는 거주지 외에도 상업 지역과 휴양 시설, 학교, 병원 등이 건설된다.

앞서 설명했듯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갖춘 건물 외에도 도로를 따라 나무가 심어져 있고 건물 전체가 식물로 덮여 있다. 마치 멀리서 보면 고대 유적 같은 모양새라고 할 수 있다.

건물 지붕에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고 지열과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를 통해 에너지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것도 이 도시의 특징 중 하나다.

이 도시가 완성되면 주민 3만 명이 살 예정이다. 나무 4만 그루와 100종 이상 100만 그루 식물을 심을 예정. 숲을 통해 연간 이산화탄소 1만 톤과 오염물질 57톤 흡수, 산소 900톤을 만들어낼 것으로 예측된다고 한다. 환경 문제가 지적되는 중국에서 이 같은 식물 활용은 온도를 낮추고 조류나 곤충 거처를 제공해 생명의 다양성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 건축가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버티컬 포레스트(Vertical Forest)라는 주거용 아파트도 짓고 있다. 이미 존재하는 도시 건물을 파괴하지 않고 도시 숲을 늘리고 환경을 재생하는 아이디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밀라노 중심부에 위치한 높이 110m와 76m짜리 아파트에 나무 900그루, 식물 2만 그루를 심은 것.

지금은 가급적이면 환경이 좋은 도시에 살고 싶은 사람이 많다. 하지만 과학 기술이 크게 발전했지만 아직까지 이상적인 도시가 실현됐다고 할 수는 없다. 유튜브 채널 라이프노긴(Life Noggin)에 따르면 미국인 중 3분의 2는 도시에 살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도시 주거 환경은 그렇지 좋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상적인 주거 환경을 갖춘 완벽한 도시의 조건은 뭘까.

일단 무엇보다 중요한 건 입지다. 풍부한 물이 있는 것이다. 호수 같은 게 주위에 있다면 이상적이다. 물론 긴 우기가 있는 등 극단적인 계절이라면 좋지 않은 만큼 온화한 기후여야 한다.

또 커뮤니티를 형성하려면 도시는 어느 정도 규모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주민이 너무 넘쳐나는 것도 좋지 않다. 이런 점에서 크기는 65만k㎡, 인구는 50만 명 정도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한다.

다음은 도시 어디에도 갈 수 있게 중앙에 지하철을 두면 편리하다. 앞선 예처럼 지상에서 자동차는 배제하고 보행자와 자전거 같은 것만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다면 교통 안전이나 건강을 위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자동차 없는 사회는 극단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고속도로를 없앤 파리 같은 예나 앞선 폰테베드라 같은 도시도 있는 만큼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을 수 있다.

또 도시 환경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면 대기 오염 문제를 줄일 수 있다.

고층 빌딩을 활용해 일자리와 주거가 가까운 도시를 만들 수 있다. 물론 녹지가 필요할 수 있는 만큼 싱가포르 같은 곳처럼 고층 빌딩을 녹화하는 것도 방법이다.

최대한 즐길 수 있는 도시가 되려면 사회성에 대한 배려도 필수. 학교 활동이나 조밀한 커뮤니티 등이 그것이다. 또 규범은 사회 복귀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지나치게 가혹한 형벌은 피하는 게 좋다. 위반자를 감옥에 넣어버리면 비용은 비싸고 수감자의 재범률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상적인 도시에선 위반자가 도시를 안전하고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파수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을 수 있다.

가로등의 경우 센서를 활용하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해 이에 맞게 빛을 조절해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 이미 이 같은 구조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채택되고 있기도 하다.

다음은 생활 비용을 낮추고 공공 주택을 지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건 정부의 임무다. 싱가포르는 80%가 정부가 세운 공동 주택 생활 커뮤니티와 공유 감각을 키우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아직까지 이런 이상적인 도시를 건설할 수 없는 이유는 비용 문제, 정부와의 공동 협업이 너무 많이 요구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상적인 도시를 처음부터 건설하려고 들면 200억∼400억 달러에 달하는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된다.

이석원 기자

월간 아하PC, HowPC 잡지시대를 거쳐 지디넷, 전자신문인터넷 부장, 컨슈머저널 이버즈 편집장, 테크홀릭 발행인, 벤처스퀘어 편집장 등 온라인 IT 매체에서 '기술시대'를 지켜봐 왔다. 여전히 활력 넘치게 변화하는 이 시장이 궁금하다.

뉴스레터 구독